[사설] R&D 지원 예산에서도 홀대받는 비수도권

입력 2024-10-11 05:00:00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여전히 수도권에 편중(偏重)되고 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수도권 신도시 조성 사업비가 비수도권보다 6배 많다는 지적에 이어 R&D 예산에서도 지방이 홀대받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매년 국감 때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거론되지만, 정부는 해소에 요지부동(搖之不動)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받은 '지역 R&D 예산 현황'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17개 광역시·도에서 집행된 R&D 예산의 34.7%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대전을 포함하면 그 비중은 62.4%다.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광역단체의 경우 10%를 넘긴 곳은 없다. 대구는 2.9%, 경북 3.4%이다.

지난 7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감에서도 R&D 예산 지원에서 지역 간 불균형(不均衡)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산업부 3대 전담 기관의 R&D 예산 21조9천560억원 중 수도권 지원 금액이 44.1%다. 특히 예산의 4분의 1은 경기도에 쏠렸다. R&D 예산의 수도권 편중은 갈수록 심하다. R&D 투자마저 수도권에 쏠리면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隔差)는 더 커진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이 문제가 지적됐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방은 대기업이 거의 없고, R&D 인프라가 빈약하다. 비수도권의 경제는 갈수록 침체되고, 매년 1만 명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간다. 이런 현실을 타개(打開)하려면 R&D 예산은 비수도권에 집중 투입돼야 한다. R&D 예산의 수도권 편중을 개선하려면 사업 공모 방식을 바꿔야 한다. 현재는 우수 기업과 연구 인력이 풍부한 수도권이 전적으로 유리한 구조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는 공정 경쟁이 이뤄질 수 없다. 정부는 R&D 예산을 지역거점특화단지나 기회발전특구에 우선 지원하는 특단(特段)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은 '국감 지적'으로 끝내지 말고, 정부의 후속 조치를 이끌어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