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상승률이 3년 6개월 만에 1%대로 떨어졌다.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5(2020년=100)로 전년 동월보다 1.6% 상승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고공행진을 이어 오던 물가가 드디어 통화당국의 관리 목표치인 2% 아래로 내려온 것이다. 고물가와 고금리에 허덕이던 서민들에겐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안심하기는 이르다. 2021년 3월(1.9%) 이후 첫 1%대는 기저효과(基底效果) 영향이 크다. 석유류 물가가 7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는데, 지난 1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탄도미사일 180발을 발사해 중동 긴장이 고조되면서 국제유가도 다시 출렁이고 있다. 긴 폭염과 가뭄 탓에 배추를 비롯한 채소류 가격은 여전히 불안하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무 가격은 10% 이상 올랐다.
10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도 불투명하다. 소비자물가는 2%대 안정세를 보여 왔는데, 관건은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다. 한은은 물가와 내수 관계만 살핀다면 현 기준금리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면서도 최근 '금융 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대출 금리를 0.25%포인트(p) 낮추면 1년 뒤 전국 주택 가격은 0.43%p 상승, 서울은 0.83%p'로 추산(推算)하기도 했다. 전기 요금도 변수다. 국제유가가 하락세이면 전기 요금 인상이 부담스러운데, 현 추세라면 전기 요금 연내 인상도 충분히 가능하다. 여기에 국제유가와 김장철 물가 불안까지 가세하면 무엇도 장담할 수 없다. 대통령이 당부한 '선제적 조치'가 실체를 보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트럼프 빼준 의자에 앉지 않은 李대통령…"경상도 예의"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
과연 얻은 독립이고, 도둑처럼 온 광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