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쪽으로는 순항미사일 발사해 섞어 쏘기도
북한이 탄도미사일 탄두 중량을 키우고 있다. 고중량 재래식 탄두를 장착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것.
19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오전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 탄도미사일은 동북 방향으로 날아갔고, 시차를 두고 발사된 순항미사일은 서해상에서 8자형으로 비행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이날 보도에서 미사일총국이 전날 신형 전술탄도미사일 '화성포-11다-4.5'와 개량형 전략순항미사일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화성포-11다-4.5는 '북한판 이스칸데르'라 불리는 KN-23 SRBM의 탄두를 키워 4.5t(톤)짜리 고중량으로 개량한 미사일이다.
탄도미사일에 고중량 탄두를 장착하는 것은 핵을 보유하지 못한 한국이 북한 핵에 대응해 추진해온 미사일 개발 방식이다. 핵탄두 개발에 매진하는 동시에 한국과 유사한 재래식 고중량 탄두를 장착한 미사일까지 만들어 전략·전술적 선택의 여지를 넓혀 나간다는 게 북한의 의도로 분석된다.
특이한 점은 북한이 탄두 중량을 늘린 미사일을 바다가 아닌 내륙으로 발사했다는 점이다. 미사일의 정확성을 확신하지 못하면 육지로 발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해당 미사일의 정확도에 대한 신뢰가 높다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난 7월 1일 황해남도 장연에서 첫 시험발사가 있었는데 당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두 발 중 한 발은 600여㎞를 비행했으나 다른 한 발은 120㎞ 비행에 그쳐 실패로 추정됐다. 한 발은 청진 앞바다까지 날아가 떨어졌지만, 나머지 한 발은 평양 인근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거론됐다. 하지만 이번에는 7월 첫 시험발사 때와 달리 미사일이 내륙 육지에 떨어지는 장면이 담긴 사진도 공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탄착 지점은 함경북도 산악 지역"이라면서 "북한은 정상적 국가로 보기 어렵고, (지상 겨냥 발사 시 피해를 고려하는) 우리와는 차이가 많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