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공의 집단사직 관련 경찰 조사' '정부 상황 인식' 등 지적
한덕수 "상황 나쁘지 않다. 일부에서만 문제 발생"
여야의정 협의체서 '2025 증원 유예' 안건 놓고도 당정 대립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12일 의료 현장 혼란 수습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 전략 등을 놓고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지역·필수의료 체계 개선' 주제로 열린 당정협의회 중 비공개 석상에서 한 총리를 향해 최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이 전공의 집단사직과 관련해 경찰 참고인 조사를 받은 것을 문제 삼았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한 대표는 한 총리에게 "여야의정 협의체 제안을 한 상황에서 왜 자꾸 의사들을 자극하나. 소환 시기를 늦추는 방법을 포함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느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한 총리는 복귀 전공의나 최근 응급실 등 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진 등의 신상을 온라인에서 공개하는 '블랙리스트' 논란을 언급하며 엄정 대응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자 한 대표는 "경찰이 소환한 사람들과 블랙리스트는 다른 사람들 이야기"라고 지적한 뒤, "정부는 지금 이 상황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하나. 책임질 수 있나"라고 따졌다. 한 총리는 "상황이 나쁘지 않고, 일부에서만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답했다.
두 사람은 여야의정 협의체에서 다룰 의제에 '2025년 증원 유예'를 포함할지를 놓고도 이견을 나타냈다. 앞서 한 대표는 협의체 발족을 위해선 '2025년 증원 유예'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 대표는 "2025년 의대 정원 증원을 꼭 유예한다는 게 아니다. 의료계가 계속 요청하니 '일단 협의체에 들어와서 이야기하자'고 열어놔야 하는 것 아니냐"며 "협의체를 빨리 '개문발차'해야 국민들이 안심한다"고 말했다.
이에 한 총리는 "2025년 의대 정원 문제를 다시 논의하는 것은 절대 안 된다"며 "대입 수시 모집 등이 이미 시작된 상황 등을 고려하면 혼선이 너무 크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한 대표는 "(확정된 증원안의) 재조정이 어렵다는 것은 알지만 뭐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지금 상황이 한가한가"라고 되물었고, 한 총리는 "지금 상황은 정부가 관리 가능하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한편, 정부와 국민의힘은 추석연휴 기간 동네 병의원 8천여곳이 문을 열도록 지원키로 했고 의료계 관심 사안 중 하나인 의료사고처리특례법 제정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