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연 7.7건…서구권 국가의 7배

입력 2024-08-26 15:43:09 수정 2024-08-26 20:13:15

美·EU·스위스 등 서구 국가는 1건 안팎
피폭선량 67%는 'CT'…질병청 "CT, 적정 사용 필요성"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지난해 한국인 한 사람이 받은 엑스레이(X-ray)나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가 평균 7.7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선진국의 7배 수준에 달해 적정 수준의 검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6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전 국민의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3억9천800만여건이었고, 전체 피폭선량은 16만2천106 맨·시버트(man·Sv)였다. 맨·시버트는 한 집단의 개인 피폭방사선량의 총합에 쓰이는 단위다.

이는 국민 한 사람이 평균적으로 7.7건의 의료방사선 검사를 받았고, 이로 인해 3.13 밀리시버트(mSv)의 방사선에 피폭됐다고 정리할 수 있다.

검사 건수를 세계 평균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많았다.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스위스(2018년)와 미국(2016년)이 각각 1.1건, 유럽연합 36개국(2014년)이 0.5건이었다.

1인당 검사 건수도 2020년 5.9건이었던 것이 2021년 6.4건, 2022년 6.8건으로 계속 늘고 있다. 1인당 피폭선량 역시 2020년 2.46mSV, 2021년 2.64mSV, 2022년 2.75mSV, 2023년 3.13mSV로 증가 추세다.

전체 의료방사선 검사를 검사 종류별로 보면 일반촬영(X레이촬영)이 77.2%(국민 1인당 6.0건)로 가장 많았고, 치과촬영(4.0%), 유방촬영(5.4%), CT(4.0%) 순이었다. 피폭선량은 CT가 67.3%(국민 1인당 2.11mSV)로 비중이 가장 컸고, 그다음이 일반촬영(26.5%), 혈관촬영(2.3%), 투시촬영(1.9%), 유방촬영(1.3%) 순서였다.

질병청은 CT가 영상의학검사 중 검사건당 피폭선량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정 사용의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방사선 검사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의료기관에 지침과 진단 참고 수준을 제공해 의료방사선이 안전하고 적정하게 사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