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 공제 한도 2배 늘리고…상속세·배우자 공제 한도 올려
"稅, 중산층 어렵게 해선 안 돼"
2기 지도부 영남권 출신 다수…"험지 신경 쓴다" 인식 심어줘
'압도적 득표율' 부담감도 덜어
압도적 지지로 연임에 성공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우클릭 정책'과 '먹사니즘'(먹고 사는 문제), '경제 성장'을 외치고 있다. 친명 의원과 지지자들로 민주당을 완벽히 틀어쥔 이 대표가 본격적인 중도 확장 시도를 표방한 가운데 보수 진영의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李 먹사니즘·세제 완화, 중도 확장 시도
이 대표는 이번 전당대회 내내 캐치프레이즈로 먹사니즘을 앞세우며 민생·실용 노선을 내세웠다. 취임 이후에도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통한 골목상권과 서민경제 회복을 주장하는 등 정부·여당에 대한 압박을 펼쳤다.
이 대표는 민주당이 '부자 감세'라며 반대해 온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완화는 물론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유예 및 보완 입장을 내비치면서 정책적 우클릭을 시도했다.
이 대표는 앞서 금투세 공제 한도를 현행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올리고 상속세 일괄 공제 및 배우자 공제 한도 상향을 제시했다. 그는 "세금이 중산층을 어렵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는 등 전향적 태도를 보였다.
민주당은 또 이 대표가 전당대회 공약으로 내세웠던 '에너지 고속도로'를 대표적 민생 정책으로 밀고 있다. 재생에너지 산업 투자를 확대해 인구 소멸 위기인 지방 에너지 플랜트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능형 송배전망으로 전국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우클릭 정책 등 중도 확장을 전당대회 전부터 주장했음에도 압도적 득표율로 당선됨에 따라 향후 정책 기조 변화에 대한 부담감도 크게 낮아졌을 것이라고 본다.
다만 중도 표심 공략을 위한 실용 노선을 계속 유지할 경우 여당과 정책을 공조하는 이미지로도 비칠 수 있어 시민단체, 진보 진영 등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층의 반발 가능성도 남아있다.
또 지지율 하락 등 변수로 인해 기존 지지층 결집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 다시 정책적 회귀를 할 경우 기껏 확보한 중도층이 이탈하면서 더 큰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여권에서는 민주당의 우클릭에 경계심을 드러내면서 분배 정책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교육·문화·지역·자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격차 문제를 다룰 가칭 '격차해소특별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파이를 키우는 지속 가능한 성장뿐 아니라 어려운 현실 속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 구조적인 이유로 생긴 다양한 격차를 줄이는 노력 역시 똑같은 비중으로 중시해야 한다"며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은 일률적인 현금 살포와 다른 것이다. 지속 가능하고 균형 있는 정책으로 국민의 삶이 더 나아지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2기 지도부 영남권 연고자 눈길…수도권 지역구 현역
이재명 2기 지도부 중에 영남권 연고자가 늘어난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1기 지도부에선 안동 출신 이 대표와 부친 고향이 안동인 박찬대 원내대표, 상주 출신 서영교 최고위원이 있었다. 또 원외 서은숙(부산)·전은수(울산)·강민구(대구) 지명직 최고위원이 활동했다.
2기 지도부는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그대로 유임되고, 전현희(통영), 김병주(예천), 이언주(부산) 최고위원이 영남권 출신이다. 김민석 수석 최고위원은 부친 고향이 사천이다.
지도부 외에도 현역 의원 중 영남권 출신이 다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대다수는 수도권 지역구 의원이다. 지역구가 영남이거나 비례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의원은 소수다.
정치권 관계자는 "영남권 인사가 지도부에 대거 진출하면서 각종 지역 현안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고, 험지를 신경 쓴다는 인식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영남 연고가 있다고 해도 수도권 지역구 의원인 만큼 현실적으로 다른 지역에 신경 쓰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