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과 동반성장 모델로 자리매김…산업계 전반 확산
위·수탁사 개선과제 공동수행…비용 절감 금액 50% 보상해 줘
기술력 확보·수익성 향상 도움…동반성장 모범 사례로 손꼽혀
포스코가 국내 기업 최초로 도입한 성과공유제가 올해 20주년을 맞았다.
8일 포스코에 따르면 중소기업과 상생협력을 위해 2004년 성과공유제를 도입했으며, 이 제도를 통해 지난 20년간 2천344개의 위·수탁기업이 총 5천565건의 개선과제를 수행해 약 8천255억원의 성과보상금을 지급 받았다.
성과공유제는 위·수탁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개선 과제를 포스코와 공동으로 수행해 재무성과가 발생하면 비용 절감 금액의 50%를 과제 참여 기업에 보상해 주는 제도다.
위·수탁기업은 기술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고, 포스코는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기업을 통해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장기적으로 상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생 제도'로 평가 받고 있다.
포스코 측은 국내 최초로 도입한 성과공유제의 경우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 모범 사례로 인정받아 정부가 2006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산업계 전반에 이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한 바가 커 동반성장의 모델로 손꼽히고 있다고 자평했다.
실제로 현재 국내 대기업, 공기업 등을 포함해 593개사가 성과공유제를 운영하고 있다.
현보산업은 포스코의 성과공유제를 통해 황화수소 정제 설비개발에 성공해 비용 절감과 함께 황화수소 배출을 기준치 이하로 관리하는 성과를 올렸다.
태영이엔지는 탱크 지금(地金·고온의 쇳물 덩어리 형태) 제거 작업 기계화에, 하나테크·이엔엠은 열연 수처리 공정에 파손이 없는 스테인리스 필러 개발에, 각각 성공하며 안정적인 매출확보를 이뤘다.
포스코 관계자는 "성과공유제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경쟁력을 강화해 강건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솔루션으로 적극 활용해 나가겠다"며 "이 제도 외에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철강ESG상생펀드, 동반성장 지원단, 벤처지원 등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과 상생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