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오물 풍선 대항 K9 해상사격 재개…남서쪽 290발 쐈다

입력 2024-06-26 20:40:06 수정 2024-06-27 08:14:48

해병대사령부 7년 만에 훈련

서북도서 일대에서 해상사격훈련이 실시된 26일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K-9 자주포가 화염을 내뿜고 있다.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은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정지됨에 따라 7년 만에 재개됐다. 연합뉴스
서북도서 일대에서 해상사격훈련이 실시된 26일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K-9 자주포가 화염을 내뿜고 있다.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은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정지됨에 따라 7년 만에 재개됐다. 연합뉴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26일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스파이크사격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26일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스파이크사격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의 연쇄 도발로 한반도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군이 서북도서 정례 K9 해상사격훈련을 근 7년 만에 재개했다.

해병대사령부에 따르면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이하 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26일 각각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6연대와 연평부대는 이날 해상사격훈련 중 K9 자주포와 다연장로켓 천무, 스파이크 미사일, 2.75인치(70㎜) 유도로켓 비궁 등 총 290여 발을 남서쪽 공해상 가상의 표적을 향해 발사했다.

K9 등을 동원한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은 6년 10개월 만에 재개됐다. 마지막 훈련은 9·19 군사합의 체결 11개월 전인 2017년 8월에 이뤄졌다.

앞서 정부는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와 GPS 전파교란 공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복합 도발에 대응해 지난 4일 9·19 군사합의 모든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 24일부터 이틀간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한 데 이어 26일 새벽에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고체 연료 극초음속 탄도미사일의 성능 개량을 위해 시험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달 30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북한은 전날 밤 남쪽을 향해 오물 풍선 250여 개를 살포하는 등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풍선 내용물은 지난 24일 날려 보낸 풍선과 마찬가지로 종잇조각이 대부분이며 유해 물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풍선 중 100여 개는 경기 북부와 서울 등에 낙하했다.

북한은 탈북민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반발해 올해 들어 총 6차례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날려 보냈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9일까지 쓰레기를 담은 풍선을 4차례 살포했으며 이후 24일과 25일 밤 이틀 연속으로 남쪽으로 오물 풍선을 띄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