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24년만에 北 방문해 결속 과시…북·러 밀월에 한국은 中과 대화 '견제구'

입력 2024-06-18 17:01:07 수정 2024-06-20 07:42:37

북러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맺으면 양국 관계 격상
자동군사개입조항 등 군사협력 수준 관심…한반도 정세 변수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만난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만난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방북길에 오른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야쿠츠크 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타스 연합뉴스
방북길에 오른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야쿠츠크 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타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해 '북·러 결속'을 대내외에 과시한다. 우크라이나전 이후 급속히 가까워진 양국은 이번 계기로 한층 견고한 밀월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 관심사는 양측의 군사협력 수준이다. 우리 정부는 한반도 긴장감을 고조시킬 군사협력 조항이 부활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크렘린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18일 저녁 평양에 도착해 다음날인 19일 공식 환영식과 양측 대표단 소개, 회담 등 주요 일정을 소화한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에 이뤄졌다. 지난해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을 초청했고, 이번 방북은 그에 대한 답방 격이다. 우크라이나전에 필요한 무기 확보를 비롯해 반(反)서방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외교적 시그널로도 풀이된다.

이번 방북 일정과 관련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양국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 체결되면 양국 관계가 크게 격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는 한국과는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맺은 바 있다. 하지만 북한에 대해선 '포괄적'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는 점에서 북러관계가 한러관계보다 협력 수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양측의 군사협력 수준도 한반도에 긴장감을 조성할 주요 변수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인공위성 기술 지원을 시사했다. 특히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이 체결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에 포함됐다가 한러 수교로 1996년 폐기된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을 되살리는 정도의 협의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는 18일 '한중 외교안보대화'를 개최했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서면 축사에서 "지난 25년간 3국 협력은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다자협력 메커니즘"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방북이 북·중·러 연대가 심화되는 발판이 되지 않도록 정부가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특히 북·러 결속이 북·중·러 연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중관계를 다지고 한·일·중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