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 현황 및 시사점
가계대출 연체율 1.08%p, 기업대출 연체율 3.84%p 상승
최근 1년 새 저축은행 연체율이 2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 상승이 신규대출 위축으로 이어지는 만큼 취약차주 채무 조정 등을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3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저축은행 연체율은 5.33%로, 1년 전(2.60%)보다 2.73%포인트(p) 상승했다. 대출 종류별로 가계대출 연체율은 1.08%p, 기업대출 연체율은 3.84%p 올랐다.
연구원은 높아진 연체율이 저축은행의 신규대출 축소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저축은행 총대출은 지난 2022년 말 115조원에서 지난해 6월 말 109조3천억원으로 6개월 새 4.9% 줄었다. 가계대출은 3천억원(0.8%), 기업대출은 5조4천억원(7.6%) 감소했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 조정 활성화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궁극적으로 취약차주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지원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취약차주에게는 자금사용 용도에 맞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안내하고, 저축은행에도 정책서민금융상품 취급 실적을 경영 성과에 반영하는 등 경영상 유인을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암살 위협받는다는 이재명, 오늘부터 경찰이 신변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