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당일 검찰총장 공개적 입장 언급 이례적
퇴임을 앞둔 심우정 검찰총장이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검찰개혁과 관련해 "형사사법시스템은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일 심 총장은 마지막 출근길에 취재진과 만나 "범죄를 처벌하고 국민을 범죄로부터 지키는 국가 형사사법시스템은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각계각층 의견을 충분히 듣고 깊이 있고 신중한 논의를 거쳐 국민이 필요로 하고, 또 국민을 위하는 일선 검사들이 사명감을 갖고 국민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국가백년대계로서 형사사법시스템이 설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앞서 심 총장은 대통령 민정수석이 임명되고 법무부 차관이 보임되면 사직하겠다는 의사를 주변에 밝혀왔다.
그는 전날 낸 입장문에서도 "시한과 결론을 정해놓고 추진될 경우 예상하지 못한 많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검찰개혁과 관련해 우려를 표했다.
퇴임하는 총장이 당일 공개적인 입장을 별도 언급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온건하고 신중한 스타일의 심 총장이 직을 내려놓은 데 이어 전날에 이어 드물게 목소리를 거듭 내면서 검찰개혁에 관한 입장을 표명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심 총장은 지난달 30일 법무부에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해 9월 16일 임기를 시작한 지 9개월여 만이다.
수사·기소 분리를 골격으로 한 검찰권 분산을 공약으로 내건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고 검찰 개혁을 이끌 지휘 라인이 확정되자 거취를 정리할 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친명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고, 봉욱 민정수석을 임명했다. 법무차관에도 '비특수통'으로 평가되는 이진수 차관(고검장급)이 임명됐다.
심 총장의 퇴임식은 이날 오전 10시 비공개로 진행된다.
사법연수원 26기로, 서울지검 검사로 임관한 심 총장은 연수원 동기 중 선두 주자로 검찰 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법무부 검찰국 검사를 거쳐 '예비' 검찰과장이 통상 거치는 형사기획과장으로 일한 뒤 검찰국 선임인 검찰과장으로 근무했고, 전국 부장검사 가운데 가장 선임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으로 일했다. 법무부 기조실장에 이어 서울동부지검장, 대검 차장, 법무부 차관을 역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