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꼭 해야 하나요"…10년 새 혼인 건수 40% 줄었다

입력 2024-03-03 12:49:24

혼수·주거비 부담 등 경제적인 이유도 한몫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연합뉴스

최근 10년 새 혼인 건수가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결혼해야 출산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출산의 전제부터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3일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3천673건이었다.

10년 전인 2013년(32만2천807건)보다 40.0% 감소했다.

혼인 건수는 2011년(32만9천87건)까지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2년부터 줄어드는 양상이다. 2022년(19만1천690건)까지 11년째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1천983건(1.0%) 늘었다.

그러나 향후에도 혼인의 증가세가 유지될지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분기별로 보면 혼인 건수는 2022년 3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2.8% 반등해 작년 2분기까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같은 해 3분기 8.2%(3천707건), 4분기는 5.5%(2천907건) 각각 감소했다.

혼인 건수가 큰 폭을 줄어든 데에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배경으로 꼽힌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감소했다.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42.4%에서 34.8%로 감소하는 등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줄었다.

같은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에서 43.2%까지 증가했다.

주거 마련 등 경제적인 이유도 결혼의 장벽이 되고 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2022년 20대의 32.7%, 30대의 33.7%, 40대의 23.8%가 '혼수비용·주거 마련 등 결혼자금이 부족해서'를 꼽아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0대(19.3%)와 40대(15.4%)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많았다. 30대는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14.2%)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2%)가 두 번째로 많았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시기 혼인의 감소가 미칠 여파에 따라 합계출산율이 당초 예상보다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