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 연구자
부채의 선면을 기계적으로 딱 반으로 나눠 경계선 좌우에 각자 그림을 그리고 호를 써넣어 두 사람이 합작했음이 한눈에 드러난 재미있는 구성이 됐다. 오른쪽에 표암(豹菴), 왼쪽에 연객(煙客)으로 호가 있어 강세황과 허필이 각각 그렸음을 알 수 있다. 필치로 보아 네 글자는 강세황이 한꺼번에 쓴 것이다.
표암은 표범 같은 얼룩무늬가 몸에 있어 지은 호이고, 연객은 담배를 좋아한다는 뜻이다. 신체의 특징, 자신의 기호를 그대로 드러내 무겁지도 상투적이지도 않다. 두 분의 소탈한 마음자리를 엿보게 해주는 호다.
'산수'는 주제나 구도, 필치가 비슷해 얼핏 보면 한 사람이 그린 것 같다. 두 그림 모두 높은 산을 배경으로 하면서 담채를 살짝 올려 시각적 청량감을 주었고 근경에 키 큰 나무가 있는 언덕을 배치했다.
허필 쪽에 산의 덩어리 감을 주는 세부 묘사와 잔 붓질이 더 많아 산세가 웅장한 점, 강세황 쪽에 붉은색이 많고 허필 쪽에 푸른색이 많은 것 외엔 화풍에 큰 차이가 없다. 인물은 둘 다 없지만 집은 다르다. 강세황은 강가의 누각을 고급스런 기와집으로 그렸고, 허필은 대숲을 배경으로 아담한 초가집을 그렸다.
강세황과 허필은 마음으로 통하는 '지심우(知心友)'였다. 허필이 나를 알아주는 것이 내가 나 자신을 아는 것보다 더 낫다고 강세황이 말할 정도였다. 두 분은 봄꽃이 피거나 가을 단풍철이면 인근의 유명한 산수를 함께 구경 다니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려 첩으로 만들었고 이를 각자의 호에서 한 글자씩 따 '연표록(煙豹錄)'이라고 했는데 사람들이 부러워하며 감상했다. 강세황의 맏손녀와 허필의 맏손자가 혼인한 사돈이기도 했다.
강세황은 시서화 삼절의 화가일 뿐 아니라 심사정, 강희언, 최북, 한종유, 김응환, 김홍도, 이인문, 신위 등 화가들과 교유하며 화평(畵評)을 많이 남긴 것으로 유명한데, 허필은 명망 있는 비평가인 강세황의 그림을 비평한 것으로 또 유명하다. 허필 스스로 "강세황의 서화첩에 허필의 제평(題評)이 없으면 현인(賢人)이 관(冠)을 쓰지 않은 것 같다"고 자부했다. 한 예로 허필은 강세황의 '매화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 "매화의 암향(暗香)을 그려내는 경지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속기는 벗어났다"라는 엄정한 비평을 써넣기도 했다.
'산수'는 그림 합작이 드물었던 18세기에 그림을 중심에 놓은 두 사람의 동호(同好)의 우정을 보여주는 선면화다. 왜 절반씩 합작으로 그렸을까? 두 분 모두와 친분이 있는 어느 그림 애호가에게 둘의 작품을 한꺼번에 감상하며 부치시라고 그려준 것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미술사 연구자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尹 무너지면 차기 대선 없다…한동훈 보면 울화 치밀어"
장외집회 나선 이재명 "8년 만에 또 국정농단…상습 범법 정권"
조국, 대구서 '첫 탄핵집회' "보수 성지 시작으로 전국 가겠다"
尹 공천 개입 의혹, 당정 "덕담 나눈 것…법률 위반도 해당하지 않아"
추경호, 대구 당심 다지기 "하다 보면 부족한 점도…더 단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