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 도입할 대중교통 '구독 요금제', 역효과 우려에 고심

입력 2024-02-01 16:47:55 수정 2024-02-01 21:51:45

돌려쓰기 막기 어려워…5월 K패스 도입되면 이용자 혼선도 우려

대구 중구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시민들이 시내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중구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시민들이 시내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매일신문 DB

내년 하반기 도입될 예정이던 대구형 대중교통 정액권인 '구독요금제'를 두고 대구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서울시가 시범 사업을 시작한 정액권인 '기후동행카드'가 부정사용 등의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예방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진 탓이다.

대구시는 내년 하반기 구축이 완료될 대구형 통합교통서비스 '마스(MaaS)'의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구독요금제'를 함께 도입하는 방향을 논의 중이다.

그러나 유사한 정액 이용 사업을 도입한 타 시‧도에서 다양한 해결 과제가 드러나며 대구시도 고민에 빠졌다.

지난달 23일부터 판매가 시작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가 대표적이다. 기후동행카드는 도입과 함께 가족 간 돌려쓰기(부정사용)가 문제로 지적됐다.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는 점을 악용해 가족, 지인들과 카드 한 장을 돌려 쓰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다.

한 달에 6만5천원인 기후동행카드를 손해없이 활용하려면 서울시내버스(간·지선 1천500원, 순환·차등 1천400원)를 한 달에 43회 넘게 이용해야 되는데, 일반 직장인이나 학생이 홀로 채우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오는 5월 교통비 환급 제도인 'K패스'가 도입되면 교통카드 2개 이상을 혼용하는데 따른 이용자 혼란이 우려되고, 인접 시·도와 환승 할인 문제와 재정 부담 등도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부정사용을 막을 기술적인 장치가 적용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구시 어르신 대중교통 무임승차카드를 단말기에 대면 '사랑합니다'라는 음성이 나오듯이 기술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용한 경일대 철도학부 교수는 "카드 사용 시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등 보완 방법을 찾는다면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일반 플라스틱 카드로는 본인 여부를 가리기 어려운만큼 본인 인증이 필요한 앱 카드 방식도 대안으로 꼽힌다.

이영우 대구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스마트폰 앱으로 본인 인증 결제방식을 도입하면 부정사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정액권 이용을 늘리려면 일단 정액권을 도입한 후에 부정 사용이 많다는 게 확인되면 본인 인증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