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해 19%대 안착
신차 구매자 중 20대 이하 청년층이 새 차를 구매하는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국토교통부 통계를 통해 분석한 연령별 신차 등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20대(8만535대)와 10대(1천823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8만2천358대이다. 전체 신차 등록 대수 137만6천621대의 6.0% 수준이다.
이처럼 올 한해 동안 20대 이하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6%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09년 국토부가 연령별 신차 등록 통계를 공개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대 이하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09년(11.1%)에서 2010년(12.2%) 소폭 상승했지만, 이후 2015년 7.9%, 2020년 7.2%, 지난해 6.3%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반해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신차 등록 점유율에서 대체로 상승세다.
5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20년 19.4%에서 2021년 18.4%, 2022년 17.3%로 소폭 감소했으나, 올해 또다시 반등하면서 19.3%로 올라섰다.
6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의 경우 2020년 9.2%, 2021년 9.7%, 2022년 9.9%로 늘었다. 특히 올해 11.5%로 크게 늘었다. 70대 이상의 등록 점유율도 2020년 2.1% 수준에서 꾸준하게 증가하더니 올해는 2.5%를 기록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 속에 신차 구매 파이낸스(할부) 옵션이 까다로워지면서 젊은 층의 구매 문턱이 더 높아졌다"며 "반면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중장년층의 구매량은 늘어 등록 점유율에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가중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