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재개한 '쓱데이' 온라인 판매↑… W컨셉 161%·SSG닷컴 31%
신세계그룹의 '2023 대한민국 쓱데이' 매출 1조7천억원을 넘어서며 역대급 성과를 올렸다.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7일간 진행된 이번 행사는 직전 행사가 열렸던 2021년 대비 22% 증가한 1조7천억원을 기록, 이마트의 한 달 평균 매출인 약 1조3천억원을 훌쩍 넘겼다.
21일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이번 실적은 온오프라인 계열사가 고르게 선전하면서 이뤄졌다. 온라인 패션 플랫폼 W컨셉은 161%의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무엇보다 지난 행사에 비해 앱 유입 수가 73%, 신규 회원 수가 16% 각각 증가했다.
명품, 뷰티, 가전 등을 대상으로 할인 행사를 진행한 SSG닷컴도 매출이 직전 행사에 비해 31%나 증가했다. 이는 매출 목표를 21% 초과 달성한 수치다. 이외에도 G마켓(10%), 신세계라이브쇼핑(34%) 등 그룹 내 온라인 계열사 매출도 2년 전 행사 대비 크게 늘었다.
오프라인 계열사도 호실적을 거뒀다. 이마트는 매출이 22% 늘었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 대형가전 카테고리의 매출이 25% 올랐다. 가공식품 매출은 40% 증가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대형가전(375%), 생활(107%), 패션(53%), 잡화(43%) 등 모든 카테고리에서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이며 전체 매출이 53% 늘었다.
이밖에 '호캉스족'을 끌어모은 조선호텔앤리조트는 31%, 매머드 종합 쇼핑몰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프라퍼티는 16% 각각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타벅스가 지난 13일부터 나흘간 오후 2∼5시 3천원에 내놓은 카페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판매량은 직전 주 같은 시간대보다 85% 증가했다. 신세계푸드의 노브랜드 짜장버거도 6일간 5만개가 팔려나가며 최단기간 판매 기록을 썼다.
신세계 관계자는 "특히 올해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현상'으로 고객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최대 폭의 할인율이 적용된 '극가성비' 상품이 큰 인기를 끌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