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김승남, "다시 짓는 다면 탄소배출량 적은 목조건축시설로"
전국 학교시설 가운데 건축한 지 30년 이상돼 노후화한 것의 비율이 37.9%에 달했다. 대구 학교시설 노후화 비율은 이보다 낮았지만 경북 비율은 10%포인트(p) 이상 높아 전국 최상위 수준이었다.
16일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가 제출한 전국 시·도별 학교시설 노후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학교시설 6만5천653동 중 30년 이상 노후한 시설은 2만4천876동으로 37.9%로 집계됐다.
지역별 노후화율은 서울이 52.2%(3천425동)로 가장 높았고 경북이 48.2%(2천727동), 부산이 46.1%(1천473동) 등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을 비롯해 9개 시·도 지역 학교시설 노후화율이 전국 평균(37.9%)보다 높았다. 대구 노후화율은 33.2%로 전국 평균 이하였다.
학교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살펴보면 C등급(보통) 이하가 4천760동으로 7.3%를 차지했다. 대구의 경우 22동으로 1.1%, 경북은 131동으로 2.3%의 비율을 보였다.
김승남 의원은 노후한 학교시설물을 새로 지을 때 목조건축을 적극 검토해봐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방식보다 목재를 활용해 교실을 만들면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산림청은 '미래학교 목재교실 시범사업'을 통해 관련 업무를 추진하고 있지만 전국 단 2개교에서만 추진된 후 중단됐다.
일본은 2010년부터 '공공 건축물 등에서의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뒤 일본 정부가 정비한 저층 건축물 목조화율이 90.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국내 목조건축, 목재 사용이 활발해졌고 관련 산업도 활성화됐다.
김승남 의원은 "산림청 조사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교실 13만4천여 개를 목조교실로 개선할 경우 약 126만톤(t)의 탄소를 저장하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이를 모두 국산 원목으로 사용하면 연평균 국내 원목 소비량의 23%에 해당하는 148만633㎥의 원목이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이들 건강에도 좋고, 탄소배출량도 적은 목조건축시설 활성화를 위해 산림청은 교육청과 협의, 노후 학교시설부터 목조 교실 등으로 전환하는 결정을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