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에코프로·현대글로비스·에바싸이클·경북도·경북TP 간 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 동맹
경북도, 도내 2차전지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 이끌기로
獨 VDE 대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2차전지pd 등 경북 2차전지산업 방향 제언
경상북도가 도내 2차전지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을 목표로 생태계 구축과 산업 동향 공유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 6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2023 국제 2차전지 포럼(ISBF)'을 개최했다. 경북도, 경주시, 포항시, 경북소재 산·학·연·관 기관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에 앞서 기아·에코프로·현대글로비스·에바싸이클·경북도·경북TP가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동맹)' 업무협약을 맺었다.
배터리 생태계 얼라이언스는 국내 최초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2차전지 원소재부터 완성차에 이르는 산업 전반의 협력체계를 다지고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을 펼친다.
여기에서 기아는 배터리 재활용 사업 전반을 총괄하고 폐배터리 공급을 담당한다. 에바싸이클은 배터리 분해·해체 및 블랙파우더(Black Powder, 이하 BP) 제조를, 에코프로는 BP 후처리에서 양극재 제조를, 현대글로비스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성 검토를 각각 맡는다.
경북도와 경북TP는 배터리 재활용 관련 규제 개선과 신사업 기술개발 협력을 담당한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재활용 공정으로 추출한 원소재들의 가치를 측정하고 공정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결과물을 도출한다면 해당 내용이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포럼은 독일 VDE(독일 전기기술협회) 부카르트 홀터 대표이사의 기조연설로 문을 열었다. 그는 글로벌 2차전지 시장 동향과 국내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2차전지 글로벌 산업 전망'을 주제로 산업 경쟁력 강화 및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
이정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차전지PD는 '배터리 산업 동향, 기술개발 및 정책 방향'을 주제로 정부의 2차전지 정책 방향과 차세대 2차전지 기술개발 동향을 설명했다.

'경북의 2차전지 산업 클러스터 육성과 도내 2차전지 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패널 토론도 이어졌다.
이영주 경북테크노파크 2차전지종합관리센터장을 좌장으로 기아 윤승규 국내 eBiz 솔루션 상무, 정회림 에코프로 경영전략실장, 이정두 2차전지PD,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이 토론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경북 2차전지 첨단산업특화단지 지정 이후 경북도의 2차전지 산업 발전 방향과 전략을 공유하기도 했다.
관계자들은 포항을 중심으로 이미 구축된 배터리 원료·소재·리사이클링 산업생태계를 경북 전역으로 확장해 도내 각 시군 특성과 강점에 기반한 경북 2차전지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시장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자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은 글로벌 초격차 2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경북의 힘으로 대한민국이 2030년 2차전지 세계 최강국이 되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