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또 역대 최저…7월 기준 2만명 선도 깨졌다

입력 2023-09-27 14:16:59 수정 2023-09-27 20:32:04

사망 늘며 45개월째 자연감소…대구는 연간 1만명 선도 위태

신생아 병동. 매일신문DB
신생아 병동. 매일신문DB

지난 7월 출생아 수가 7월 기준으로 처음으로 2만명 이하로 떨어져 최저치를 기록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1만9천102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천373명(6.7%) 감소했다. 7월 기준으로 2만명을 밑돈 것은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처음이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6년 넘게 감소하다가 지난해 9월 13명이 늘어 반등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다시 10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1년 전보다 0.3명 줄어든 4.4명이었다.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대구경북의 조출생률은 각각 3.9명, 3.8명으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부산(3.7명)에 이어 전국 최하위권이다.

대구의 1~7월 출생아 수 누계는 5천65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다. 같은 기간 경북의 출생아 수는 6천235명으로 마찬가지로 7.4%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누계치(-6.4%)와 비교하면 출생아 수 감소 폭이 더 크다.

7월 사망자는 2만8천239명으로 1년 전보다 2천166명(8.3%) 증가했다. 전년 동월 대비 사망자 수는 지난 5월(0.2%)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전체 인구는 9천137명 자연 감소했다. 2019년 11월부터 45개월째 자연 감소 중이다.

7월 혼인 건수는 1만4천155건으로 1년 전보다 792건(5.3%)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대구, 울산 등 4개 시·도에서 늘어난 반면, 서울·부산 등 13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한편, 이혼 건수는 1년 전보다 34건(0.5%) 줄어든 7천500건으로 조사됐다. 이혼은 대구를 포함한 8개 시·도에서 늘었고 서울·광주 등 9개 시·도에서는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