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와 치료는 건강보험 급여대상, 예방접종은 비급여' 구조부터 바꿔야"
매년 70만명 이상이 병원을 찾는 질환인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보건 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구체적으로 진료와 치료는 국민건강보험 급여대상인 반면 비용이 30만원을 웃도는 예방접종은 비급여인 상황(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급여제도)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대상포진 예방접종 접종자 수(접종자수)가 3년 연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21년 48만9천572명이었던 접종자 수는 지난해 53만5천720명으로 크게 늘었으면 올해는 7월까지만 60만7천354명이 접종을 마쳤다.
국내 대상포진 백신은 조스터박스, 스카이조스터, 싱그릭스 등 세 가지가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접종비용은 '조스터박스'가 최고 40만원, '스카이조스터'는 최고 30만원에 이른다.
특히 50대 이상 항체생성률이 97.2%로 알려진 '싱그릭스'는 현재 심평원의 의료기관 비급여 진료비용 조사대상에서 빠져있다.
이에 최근까지 막대한 대상포진 예방접종 비용이 취약계층을 두 번 울린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경북 안동시(17만원)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선 고령·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예방접종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많다.
인재근 의원은 "지난해 대상포진 진료에 들어간 건강보험 급여비만 약 1천126억원에 달한다"며 "대상포진 백신 접종이 치매 위험을 25~30%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만큼 정부 당국이 고령층과 취약계층을 위한 대상포진 백신 무료접종 등 대책 논의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