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경비대 70년간 괴롭힌 곤충은 '신종 모기'

입력 2023-09-17 16:48:48 수정 2023-09-17 18:41:43

국내 연구진, 독도에만 서식하는 점등에모기 확인

독도에만 서식하는 신종 모기로 확인된 독도점등에모기는 1953년 자발적으로 결성됐던 독도의용수비대원이 고통을 증언할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재단법인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유튜브 캡처
독도에만 서식하는 신종 모기로 확인된 독도점등에모기는 1953년 자발적으로 결성됐던 독도의용수비대원이 고통을 증언할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재단법인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유튜브 캡처

70여년간 독도 경비대원을 괴롭혀온 흡혈곤충의 정체가 독도에만 서식하는 신종 모기로 밝혀졌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배연재 고려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2022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진행한 결과 독도에만 서식하는 '독도점등에모기'(Culicoides dokdoensis)'를 파리목, 등에모기과, 점등에모기속에 속하는 신종 곤충으로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곤충은 몸길이가 2∼3㎜로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아 그동안 깔따구로 오인돼왔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독도점등에모기로 명명됐다.

독도점등에모기 성충. 연합뉴스
독도점등에모기 성충. 연합뉴스

점등에모기 성충은 주둥이가 퇴화해 아무것도 먹지 못하는 깔따구와 달리 식물의 즙이나 꿀을 먹고 산란기 암컷은 척추동물의 피부와 모세혈관을 이빨로 찢어 혈액을 흡혈한다. 외형은 날개 앞쪽에 있는 첫 번째 흰점 안에 검은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확인된 독도점등에모기는 1953년 자발적으로 결성됐던 독도의용수비대원이 고통을 호소할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당시 활동한 의용수비대원들뿐만 아니라 현재 독도를 지키는 경찰경비대원까지도 괴롭혀왔다.

한 의용수비대원은 증언을 통해 "여름에 양말을 두 켤레, 세 결레를 신어도 깔따구가 뚫어서 무는데 한 번 물리면 한 달, 두 달 가도 안 낫는다"며 "깔따구가 워낙 많으니까 대쑥을 뜯어 말려서 불을 피워도 안 된다. 여기 모기떼가 아니다. 한번 물리면 오래간다"고 전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독도의 지명을 딴 독도점등에모기의 형태 및 생태정보를 최근 곤충학 국제학술지에 투고했으며 올해 말 국가생물종목록에도 등재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독도수비대원들을 괴롭히고 있는 곤충의 실체를 70여 년 만에 밝힌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독도경비대원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등에모기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방안 등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