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경북 건강수명, 울릉>안동>울진 순
'기대수명에서 질병,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을 의미하는 '건강수명'이 지역에 따라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성인 23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결과 경북 울릉군의 건강수명이 77.41세로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길었다고 밝혔다.
건강수명이 가장 짧은 지역은 부산의 부산진구(64.90세)로 울릉군과 차이가 12.51세나 됐다.
군위군을 제외한 대구 8개 구·군 가운데 건강수명이 가장 긴 곳은 수성구(72.39세)였다. 이어 ▷달서구 71.13세 ▷달서군·동구 70.74세 ▷북구 70.67세 ▷중구 70.58세 ▷서구 69.37세 ▷남구 68.26세 순이었다.
경북에선 울릉군(77.41세)에 이어 ▷안동(72.19세) ▷울진(72.1세) ▷영주(71.75세) 등의 순으로 건강수명이 길었다. 경북에서 건강수명이 가장 짧은 곳은 영천(68.69세)이었다.
지난해부터 일상 회복이 이뤄지면서 코로나19 유행 후 한동안 감소했던 고위험음주율은 다시 상승했다.
고위험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술자리에서 남자는 소주 7잔(맥주 5캔), 여자는 소주 5잔(맥주 3캔) 이상을 주 2회 마신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지난해 성인 고위험음주율은 12.6%로 전년도(11.0%)보다 1.6%포인트(p) 상승했다. 2013년 이후 14%대 초반과 15%대 초반 사이였다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2020년 10.9%까지 내려왔던 수치가 일상회복 기조에 따라 다시 늘어난 것이다.
광역지자체 중 고위험음주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16.1%)이었고, 세종이 6.1%로 제일 낮았다.
대구의 고위험음주율은 9.7%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지만 경북(12.6%)은 전국 평균과 같았다.
한편, 높은 고위험음주율은 기대수명 감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고위험음주율이 가장 높은 10개 시·군·구 중 강원 정선·양구·홍천·철원·삼척, 충남 태안, 경기 동두천, 전남 여수 등 8개 시·군·구의 건강수명은 전국 평균(70.9세)보다 낮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음주 문화가 성행하는 여름 휴가철에 과음을 더욱 경계하고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는 절주 또는 금주를 반드시 실천해달라"며 "고위험음주율이 높고 건강수명이 낮은 지역들은 절주 등 건강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