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99.2% 코로나 항체 보유…10명 중 2명 '숨은 감염자'

입력 2023-08-09 13:47:23 수정 2023-08-09 13:53:49

질병청 '항체양성률 3차 조사'…"백신+자연감염이 면역 가장 오래 유지"

지난 7월 31일 대구 달서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PCR 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지난 7월 31일 대구 달서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PCR 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우리 국민의 99.2%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 10명 중 약 8명은 자연 감염을 통한 항체를 갖고 있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9일 한국역학회, 지역사회 관계기관과 지난 3월 27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국 5세 이상 국민 9천798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3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을 통한 항체를 합친 전체 항체양성률은 99.2%로 1차 조사(지난해 8∼9월, 97.6%), 2차 조사(지난해 12월, 98.6%) 때보다 소폭 증가했다.

자연 감염을 통한 항체양성률은 78.6%로, 1차(57.2%)와 2차(70%) 때보다 증가했다. 국민 10명 중 8명 가까이가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고, 그로 인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감염됐으나 확진을 받지 않은 이른바 '숨은 감염자'의 비율은 19.1%로 추정된다. 1차(19.4%), 2차(18.5%)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자연 감염 항체양성률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백신 접종률이 낮은 5∼9세 소아들이 94.1%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졌다. 다만 50∼64세와 65세 이상의 자연 감염 항체양성률은 각각 77%, 68.8%로, 2차 조사 때보다 10% 이상 늘었다.

질병청은 백신 접종과 감염 등으로 국민의 전체 항체양성률이 높게 유지됐고, 오미크론 유행 이후 코로나19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다만 방역 당국은 항체가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재감염 위험은 계속 남아있다고 우려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백신 미접종자는 재감염 위험이 기존 단가백신 접종자에 비해 2.02배, 개량 2가백신 접종자에 비해서는 3.1배 높았다.

백신도 맞고 코로나19에 걸린 적도 있는 '복합면역군'의 면역은 백신만 맞은 집단이나 백신을 안 맞은 채 자연 감염 경험만 있는 집단보다 오래 유지됐다. 하지만 복합면역군 면역 역시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시간이 흐르면 모든 집단에서 면역이 감소해 재감염의 위험이 있다"며 "중증화 예방을 위해 고령층은 감염에 주의하고 백신 추가접종에도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