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대의원제 폐지 및 축소 방안 검토…10일 발표 예고
비명계, 대의원제 폐지 두고 일제히 반대…"지금 거론할 이유 없어"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대의원제 폐지를 꺼내 들었으나 비명계의 강한 반발에 숙의를 연장했다. 이에 폐지보다는 축소로 선회해 밀어붙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8일 민주당에 따르면 혁신위는 대의원제 폐지를 담은 혁신안을 이날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당내 거센 반발에 10일로 미뤘다. 앞서 진행했던 의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등을 수렴해 최종안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지금 (대의원제를 폐지) 할 이유가 없다는 게 많은 의원들의 생각"이라며 "대표가 그만두는 상황을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대의원제 폐지 문제를 지금 거론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비명계 이상민 의원도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모든 일에는 급한 것, 본질적인 것부터 먼저 해야 하지 않나"라며 "대의원제가 지금 그렇게 시급하고 본질적인 건가"라고 언급했다.
앞서 박광온 원내대표도 전국 정당화를 추진하기 위한 차원에서 대의원제를 도입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폐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전당대회에선 권리당원 40%, 전국대의원 30%,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의 비율로 지도부를 선출했다.
실제 권리행사가 가능한 권리당원은 약 120만~130만 명에 달하는데 반해, 대의원은 1만6천 명 규모로 대의원 1명의 표가 약 60명의 권리당원에 준하는 표의 등가성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가입 기간이 길지 않은 당원이 다수인 '개딸' 등 친이재명계 강성 지지층에서 대의원제 폐지 및 권리당원의 권한 확대를 요구해 왔다.
혁신위는 일부 수용하면서도 당내 반발을 의식해 대의원 선출 방식이나 애매한 기준 등을 정리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의원제 폐지는 너무 안일한 생각이다. 대의원들의 당에 대한 공헌도를 빼놓고 이야기하기 어렵다"며 "대의원제 선출 구조는 지역위원회에서 지역대의원 및 전국대의원이 선출되며, 이중 전국대의원이 전당대회에서 참여하여 의결권을 행사한다. 권리당원과 단순 비교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대의원제가 지역 격차를 훨씬 줄이는 제도"라며 "실례로 대구에 비해 광주가 10배 이상 많은 당원들이 있지만, 전국대의원을 선출할 시에 각 지역위원회 별로 80%를 균등 배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