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 6월 말 대구 중구 남산동 천주교대구대교구 교구청을 찾았다. 교구장 조환길 대주교를 비롯해 대구대교구 사제들과 대화를 나눈 박 전 대통령은 꽤 밝은 모습이었고, 대화도 잘 이어 나갔다고 동석한 사람들은 전했다. 아직도 불편한 것으로 알고 있는 박 전 대통령의 발을 걱정해 사제들이 말렸지만 그는 자청해서 교구 경내 산책에도 나섰다.
박 전 대통령의 교구청 방문 약속은 방문일로부터 한 달여 전 확정됐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박 전 대통령이 남산동 나들이를 한 시점은 박영수 전 '박근혜 국정 농단' 특별검사를 둘러싼 여러 비리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타던 시점이었다. 박 전 특검이 대장동 개발업자들로부터 이권 청탁을 들어주는 대가로 금품을 챙긴 혐의를 포착했다는 검찰 수사 결과가 나왔고 여러 혐의 사실은 신문에 도배됐다.
6월 말 구속영장이 한 차례 기각됐던 박 전 특검은 검찰이 구속영장을 재차 청구한 끝에 지난 3일 구속됐다. 2014∼2015년 우리은행 사외이사 등으로 있으면서 대장동 업자들의 금융권 청탁을 들어주는 대가로 8억 원을 챙기는 등 모두 19억 원의 뒷돈을 받은 혐의를 검찰은 적용했다. 박 전 대통령에게 박영수라는 이름은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2016년 12월 1일부터 시작된 특검 수사는 속사포처럼 이뤄졌고 이듬해 3월 10일, 헌법재판소는 탄핵을 인용했다. 특검 수사가 박 전 대통령이 탄핵·파면에 이르게 된 가장 큰 요인이라는 점을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검찰에 따르면 박 전 특검은 특검 임명 훨씬 전인 2014년부터 대장동 일당과 얽혔다. 특검은 국회가 추천해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현직 대통령이 연관된 중대 사건에 대한 특검 검증에 신중함이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박 전 특검은 2009년 검찰을 떠난 이래 우리은행 사외이사 등 이권에 연루될 수 있는 직책을 지냈기에 더 많은 점검이 필요했다. 대장동 사건 말고도 그는 수산업자를 사칭한 사람에게 포르쉐 렌터카를 받은 혐의까지 밝혀져 지난 2021년 7월 특검을 불명예 사퇴했다.
박 전 특검 사건으로 인해 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그의 수사 대상이었던 이들이 반발하는 등 혼란이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탄핵을 되돌릴 수는 없다. 박 전 특검의 추락을 보면서도 침묵으로 일관하는 박 전 대통령의 뜻이기도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탄핵 과정을 면밀히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광우병 사태든, 최근의 오염수 논란에서든, 수차례 목격됐듯이 우리 사회의 냄비 근성이 탄핵 과정에 작용하면서 무자격 특검을 내세우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외면한 채 예단과 편견의 함정에 빠지지는 않았는지, 깊이 성찰해 봐야 한다. 박 전 특검에게 너무나 쉽게 국민 특검이라는 호칭을 바치지 않았는지도 자성해야 한다.
대통령제의 고향인 미국은 단 한 명의 탄핵 대통령도 만들지 않았다. 탄핵권 남용이 가져올 헌정 혼란을 막기 위해 탄핵만큼은 극도의 절제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민주주의의 가장 큰 적은 사유(思惟)하지 않는 것이다. 검찰에 의해 박 전 특검이 우리 헌정사의 가장 큰 비극이었던 탄핵 과정에 대한 사유의 방아쇠를 당겼다. 아프고 쓰린 일이겠지만 당시 여당이었던 국민의힘 구성원들부터 얼마나 치열한 사유를 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탄핵 소추를 남발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논리를 허물어뜨리는 학습 기회도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