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정보시스템 사유시설 피해입력 6일까지 연장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피해 조사 완료 후 항구복구계획 수립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경북 영주시가 신속한 복구에 나서 응급 복구율 92%를 넘어섰다. 이 때문에 수해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영주시는 지난 1일 오후 6시 기준, 도로와 교량 등 공공시설과 주택 등 사유시설 피해 접수 720건 중 92%인 660건을 응급 복구 완료했다.
또 침수 피해를 입은 주택 84곳과 축사 6곳, 문화재 10건도 응급 복구를 완료했고 도로 파손 350건과 하천 유실 270건의 복구율도 각각 95%, 88%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는 영주시가 지난달 15일부터 재난현장통합지원본부를 설치하고 누적 인원 1만 2천여 명, 장비 6천800여 대를 투입, 신속한 응급복구작업에 나섰기 때문이다.

현재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등록된 영주지역 공공시설 피해액은 287억원이다. 지난 1일 오후 6시 기준 피해액 130억원이 접수된 사유 시설은 오는 6일까지 입력을 연장하기로 했다.
특히 지난달 15일부터 50사단, 123여단, 201여단, 501여단, 7공병여단, 8기동사단 장병 200여 명이 경북전문대 기숙사에서 먹고 자면서 헌신적인 복구작업을 펼쳤다. 누적 인원만 5천여 명에 달한다.
이동욱 대대장(제8기동사단)은 "응급복구 작전을 수행하면서 군인으로서 사명감과 보람을 느꼈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국가의 부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남서 영주시장은 "지난 19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피해 복구비 중 지방비 부담액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받게 돼 재정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피해 주민들은 국세·지방세 납부 유예, 공공 요금 감면 등 간접 혜택도 주어진다"며 "응급 복구가 마무리되면 유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구 복구에 심혈을 기울이겠다. 수해민들이 상처를 딛고 신속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재난합동조사단은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6일까지 공식 피해 조사에 나선다. 피해 규모가 확정되면 항구 복구 계획을 수립, 복구 공사를 추진하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