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년 지음/ 코리아닷컴 펴냄
'가만히 있지 못해서', '놀기만 좋아해서', '도통 학습에 관심이 없어서' 등 자녀의 여러가지 이유로 부모들이 김붕년 서울대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를 찾는다.
김 교수는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도 출연하며 서울대병원 명의로 꼽히는 인물이다. 그는 자녀 때문에 가슴졸이는 부모들을 위해 이번에 책을 냈다. 4~7세 뇌 발달의 특징과 내 아이가 잠재력을 키우며 잘 자라게끔 도와주는 양육서다.
4~7세는 뇌를 잘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로, 학령기에 들어서서 필요한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가 되는 조절 능력과 '공부 동기'를 심어주는 정서 지능이 만들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이후 공부 마라톤을 잘 달릴 수 있는 힘을 만들어주는 '공부 뇌' 발달의 골든타임이기 때문에 다른 어느 시기보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4~7세는 자기의 욕구를 표현하고, 새로운 규칙을 배워가고, 규칙을 잘 지키고 작은 성취를 쌓으면서 긍정 경험을 마련해서 학령기를 원만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기다.
그렇기에 4~7세 뇌 발달의 핵심은 조절 능력이다. 자신의 정서, 태도, 행동 패턴 등을 상황에 맞게 적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조절 능력이 자란다는 것은 아이가 자기의 욕구와 의사를 표현하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설득하려고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관심사를 잘 관찰하고, 훈육을 통해 경계선을 제시하면서, 아이가 자신을 마음껏 표현하고 발산하도록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부모와의 단단한 애착, 부모가 나를 보는 시선으로부터 싹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해소하면서 해보겠다고 도전하는 마음, 긍정 경험을 통한 자신감 등이 이후 공부그릇을 키우는 기반이 된다.
아이의 뇌에는 제 능력을 잘 발휘할 힘이 내재되어 있고, 발달 욕구와 발달 방향에 대한 신호를 끊임없이 외부로 드러내어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이 때 부모의 지지와 아이의 발달 신호가 잘 맞으면, 아이의 잠재된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더 큰 시너지를 낸다. 그러나 아이가 반항한다면 방향이 틀렸다는 사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하고 점검해야 한다. 287쪽, 1만8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