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안전성 강화, 수도시설 현대화로 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22000) 인증
기록적인 가뭄과 홍수를 넘나드는 기후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물관리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는 기후변화 시대에 맞춰 물 재해 대응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낙동강유역본부는 최근 댐 안전성을 강화 사업과 수도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해 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22000) 인증으로 받았다고 밝혔다. 본부에 따르면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2014년부터 댐 안전성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진이나 시설 노후화로 인한 댐 시설물 피해를 방지하려는 목적이다. 홍수나 지진으로부터 국가 주요 시설물인 댐 안전을 지키려면 사전 대비가 필수다.
낙동강유역본부는 1단계 사업으로 10개 용수댐에 대해 지난 2018년부터 사업비 3천159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다목적댐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2단계 사업도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낙동강유역의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에 약 2천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낙동강유역본부는 지역 간 물 복지 격차 해소를 위해 경북·경남지역 26개 지자체 수도시설 대상으로 누수량을 저감하는 현대화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영덕군 현대화사업의 경우 올해 6월 평가 과정에서 유수율 목표 기준 85%를 훨씬 초과한 92.1%를 달성했다.
전체 현대화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누수물량 5천5백만톤(t)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약 한 달간 경북·경남 인구가 사용할 수 있는 양에 해당한다.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 유역내 모든 광역 정수장은 지난해 12월 말 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22000) 인증을 받았다. ISO22000은 식품 생산·제조과정의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국제표준규격을 말한다. 대외적으로 글로벌 식품 수준의 수돗물 위생관리 체계를 구축했다는 공신력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정수장 사업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수처리공정 전 과정에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설비 운영에 관한 안정성을 점검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려 더 건강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차종명 낙동강유역본부장은 "한국수자원공사는 기후위기 속에서도 국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특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라며 "통합물관리, 물 에너지 확대,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탄소중립을 선도해 나가며 국민 물 복지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