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피 묻은 군복 의미의 기억"-文 "이 땅에 다시는 전쟁 없길"

입력 2023-06-25 20:15:52

전·현직 대통령 SNS 메시지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6‧25 전쟁 발발 73주년 관련 메시지를 각각 내놨다.

윤 대통령은 "참전 용사들과 그 가족들이 흘린 피와 눈물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며 "자유 대한민국을 있게 한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의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먼저 "오늘은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3년이 되는 날"이라며 "73년 전 오늘,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군 연 178만 명을 포함해 유엔군 195만 명이 우리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한걸음에 달려왔다"며 "3년여간 이어진 전쟁에서 62만 명의 국군과 13만 명의 미군을 포함한 15만 명의 유엔군이 전사·실종·부상 등의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력한 힘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공산 세력의 침략에 온몸으로 맞서 싸워 자유를 지켜낸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 대한민국을 더욱 굳건히 수호하고 세계시민의 자유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참혹했던 동족상잔의 전쟁을 기념하는 이유는 비극의 역사를 뼈저리게 교훈 삼기 위한 것"이라며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이 없어야 한다는 결의"라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해 KBS 1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를 토대로 엮은 책인 '1950 미중전쟁'을 추천하며 이같이 전했다.

문 전 대통령은 "'1950 미중전쟁'은 한국전쟁이 국제전이었음을 보여준다"며 "전쟁의 시원부터 정전협정에 이르기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인 힘이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뒤흔들었는지 보여주는 책"이라고 추천 이유를 적었다.

이어 "한국전쟁에 작용한 국제적인 힘이 바로 대한민국의 숙명 같은 지정학적 조건"이라며 "이 지정학적 조건을 우리에게 유리하도록 만들어 가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국가안보 전략일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 페이스북
문재인 전 대통령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