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학원서 기술 익히는 킬러문항 수능서 배제… 학부모 안심해도 돼"

입력 2023-06-21 13:58:01 수정 2023-06-21 15:11:44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을 발표하며 "내일부터 사교육 '이권 카르텔', 허위·과장 광고 등 학원의 부조리를 놓고 2주간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에서 흡수해 사교육을 줄이는 한편,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수능 출제에서 배제해 아이들이 학원으로 내몰리지 않고 학부모들이 사교육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공정한 수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수능 난이도 논란에 대해 "공정한 수능을 쉬운 수능·어려운 수능이 아니라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문제는 배제하면서 적정 난이도로 시험의 변별도는 갖출 수능"이라고 설명했다 .

이어 "학원에 가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혀야만 하는 소위 '킬러문항'은 배제하면서도 성실히 노력한 학생들은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라며 "킬러문항을 과감하게 제거한다는 방향이 소위 말하는 '물수능'은 결코 아니다"라고 덧붙엿다.

그러면서 "변별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학부모님들 안심하시라'고 말씀드리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편 대통령실은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이 "과도한 배경지식을 요구하거나 대학 전공 수준의 비문학 등 공교육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의 문제를 수능에서 출제하면 무조건 사교육에 의존하라는 것 아닌가. 교육당국과 사교육 산업이 한 편(카르텔)이란 말인가"라고 지적하며 '교육과정 안에서 수능을 출제하라'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교육계에서는 서울 대치동의 일부 대형학원이 수능 출제 경험이 있는 교사·교수를 영입해 모의고사 문제를 만들어 판매하고, 교육당국은 이를 알면서도 킬러문항 배제나 출제위원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윤 대통령의 '카르텔' 발언을 불러온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교육부는 오는 26일 수능 관련 내용을 포함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