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체류자 통해 퍼지는 신종마약 '야바'…농어촌으로 확산

입력 2023-06-11 09:03:57 수정 2023-06-11 09:52:05

인천·전남·강원 등서 대대적 검거…대부분 불법 체류 태국인
외국인 근로자 중심으로 농촌 확산

전남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가 지난달 15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법체류 태국인 13명을 구속해 이 가운데 11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찰이 태국인 마약 유통조직과 투약자로부터 압수한 합성마약 야바와 투약기구. 연합뉴스
전남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가 지난달 15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법체류 태국인 13명을 구속해 이 가운데 11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찰이 태국인 마약 유통조직과 투약자로부터 압수한 합성마약 야바와 투약기구. 연합뉴스

태국어로 '미친 약'이라는 뜻의 신종 합성 마약인 '야바'가 국경을 넘어 국내로 들어와 전국 각지로 퍼지고 있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지난 7일 야바 밀수 사범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태국인 총책은 캡슐형 건강기능식품으로 위장한 1억 원 상당의 야바 1천970정을 국제우편으로 들여왔고, 국내 판매책들은 속칭 '던지기' 수법으로 야바를 충남 서산·경기 화성·전북 정읍·대구 등지에 뿌렸다.

이 사건으로 구속된 태국인 총책과 국내 판매책은 48명이며 투약자는 33명이다.

전남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도 최근 태국인 야바 유통 조직을 일망타진했다.

호남 지역 공급책으로 지목된 태국인 A씨는 자국의 마약상으로부터 야바를 도매로 사들여 국내에 유통했다. 야바는 중간 판매책 등 7명을 거쳐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태국인 투약자들에게 흘러 들어갔다.

경찰이 이들로부터 압수한 야바는 무려 1천198정이다.

야바 밀수입이 적발돼 법원으로부터 중형을 선고받은 사례도 있다.

태국인 A씨는 지난해 7월 일반 식품으로 가장한 11억9천700만원 상당의 야바 2만3천940정을 국제우편물로 몰래 들여왔다가 덜미를 잡혔다.

광주고법 전주재판부 제1형사부(백강진 부장판사)는 향정신성의약품 수입 범죄의 엄단 필요성을 들어 1심이 선고한 징역 10년을 유지했다.

야바 투약자들은 대부분 농어촌이나 공장에서 일하는 태국인 노동자들이다.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에서 야바가 보편화돼 있다 보니 우리 농촌으로 들어오는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야바가 우리 농·어민에게로 확산하는 상황도 우려된다.

검찰 관계자는 "야바가 아무리 동남아에서 보편화돼 있다고는 하나, 필로폰 성분이어서 중독성이 강하고 유해하다"며 "외국인 근로자들을 상대로 야바의 유해성을 꾸준히 알리는 계도 활동도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