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진산업·대영채비·메가젠 등 지역 기업 연구소 속속 들어서
ABB 산업과 연계 시너지 효과 산업 경쟁력 제고 효과 기대
비수도권 최대 IT(정보통신기술)·SW(소프트웨어) 기업 집적지인 대구 수성알파시티에 제조업 기업의 연구소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관련기사 14면)
8일 대구시와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에 따르면 수성알파시티 내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기업 '대영채비', 자동차 부품 제조사 '아진산업'의 기업 연구소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미래모빌리티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두 기업은 수성알파시티에 거점을 마련해 연구개발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앞서 지난해 8월 메가젠임플란트는 기업연구소인 '메가젠임플란트 바이오 랩(Bio-Lab)' 운영을 시작했다. 지하1층~지상 10층 규모의 건물로 재료·임플란트·글로벌 인증·디지털 전환 등 기술분야 별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수성알파시티 내 IT기업과 연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안현욱 메가젠임플란트 기업연구소장은 "기업이 성장하는 데 있어 연구개발이 필수적인데 R&D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효율성이 높아졌다. 수성알파시티는 교통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고 했다.
역외 기업의 유입도 눈에 띈다. 전자업계 중견기업인 '대영전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계열사를 통합해 대구로 이전을 추진하고 동시에 통합연구소를 수성알파시티 내 조성할 계획이다. 차량용 반도체 전문 설계기업인 '텔레칩스'도 연구소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올해 1월 체결한 바 있다.
수성알파시티 내 연구소 건립은 대구시가 육성하는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를 접목한 기술혁신, 인재양성 등 지역 산업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IT·SW 기술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산업군과 연계로 큰 시너지 효과 낼 수 있다. 수성알파시티 내 협업이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한다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