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 X"…10년새 동해안 127건, 내륙도 몇몇 지역 증가세

입력 2023-04-26 17:29:12 수정 2023-04-26 21:57:11

강원 동해시 지진 4일째 지속…26일 오후 4시 현재 19차례 잇따라
이만희 국회의원 "국내 지진 감소세, 다만 일부 지역은 증가세 보여…대응능력 시급"

26일 낮 12시경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이 해역에서는 지난 23일 0시 52분 규모 1.7 지진이 발생한 후 현재까지 규모 2.0 미만 미소지진까지 포함해 총 18차례 지진이 관측됐다. 같은 날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종합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낮 12시경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이 해역에서는 지난 23일 0시 52분 규모 1.7 지진이 발생한 후 현재까지 규모 2.0 미만 미소지진까지 포함해 총 18차례 지진이 관측됐다. 같은 날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종합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해시 해상 지진이 수일 째 이어지는 등 국내 지진발생 빈도가 증가세를 보이자 한국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주·포항에서 대규모 자연 및 촉발지진 피해를 겪은 데다 국내 지진 최다 빈발지역인 경북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지진 대응 능력을 더욱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26일 기상청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0시 52분 강원 동해시 북동쪽 50㎞ 안팎 해역에서 규모 1.7을 시작으로 시작한 지진이 이날까지 이어졌다. 이 지진은 전날까지 17회 발생한 데 이어 이날 2건 추가 발생하면서 오후 4시 현재 19회로 늘었다.

지난 사례들로 비춰볼 때 한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상식이 돼 가고 있다.

특히 2016년 9월 경주에서 규모 5.8 지진(23명 부상, 재산피해 110억원), 2017년 11월 포항에서 규모 5.4 촉발지진(92명 부상, 이재민 1천797명, 재산피해 672억원)이 발생한 바 있다.

가장 최근에는 25일 오후 1시 22분 문경시 북서쪽 10㎞ 지역에서 규모 2.7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간사인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청도)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국내 지진 발생 건수는 전반적으로 감소세지만,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선 되려 증가세가 확인됐다.

이 의원에 따르면 2013년 이후 10년 간 리히터 규모 2.0(고층의 사람이 약간의 흔들림을 알아채는 수준) 이상의 국내 지진은 모두 924건에 이른다.

내륙지진이 524건으로 전체의 과반(56.7%)을 차지했다. 전반기 5년(2013~2017년)과 후반기 5년(2018~2022년)을 비교하면 내륙지진은 전반기 380건에서 후반기 144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지역별로는 경북에서 10년 간 388건(전반기 319건, 후반기 69건)의 지진이 발생해 가장 빈발했다. 전국 내륙지진의 74.1%가 경북에서 발생한 셈이다. 다만 경북의 내륙지진은 후반기 들어 감소했다.

전반기 대비 후반기 내륙지진이 증가한 지역은 ▷충북 6→13건 ▷전남 7→12건 ▷전북 5→9건 ▷경남 14→16건 ▷경기 4→5건 ▷인천 1→4건 등이었다. 북한 전역에서도 65건에서 90건으로 증가했다.

해저지진도 400건(43.3%)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해역별로는 서해가 177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동해 127건, 남해 96건 순이었다. 동해 경우 전반기 65건에서 후반기 62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그럼에도 지진에 대비한 구조·탐색용 장비는 전국 17개 시·도 소방본부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간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경북은 56종류 4천400개의 지진 대응 장비를 구축한 반면 충북은 50종류 1천214개를 보유하는 데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만희 의원은 "최근 동해상에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는 등 대한민국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태풍과 달리 지진은 예고 없이 갑작스레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한다. 부족함 없이 종합적 대응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