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해 상품수지 -13억달러, 5개월 연속 적자
여행수지 -4.3억달러, 작년 동기 두 배 이상 늘어
내수 활성화 대책, 여행수지 개선 효과 낼지 물음표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부진, 2월 경상수지가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적자는 5개월째 이어졌고, 해외 여행이 증가해 서비스수지 적자가 20억달러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제수지 잠정 통계'를 발표했다.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건 수출 부진 현상이 해소되지 않았고 고질적인 서비스수지 적자가 지속된 탓으로 풀이된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5억2천만달러(약 6천861억원) 적자였다. 작년 2월(58억7천만달러 흑자)보다 63억8천만달러 줄었고, 지난 1월(42억1천만달러 적자)에 이어 두 달째 적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가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건 2012년 1월~2월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2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상품수지는 13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9억5천만달러 적자로 전환한 뒤 5개월 연속 적자 기조를 이어갔다. 특히 작년 2월(43억5천만달러 흑자)보다 56억5천만달러나 감소했다.
일단 수출(505억2천만달러)이 작년 2월보다 6.3%(33억8천만달러) 줄었다. 세계 경기 둔화 영향으로 반도체(통관 기준 -41.5%), 화학공업 제품(-9.8%), 철강 제품(-9.2%) 등의 수출이 부진했다. 반면 수입(518억2천만달러)은 1년 전에 비해 4.6%(22억7천만달러) 늘었다.
서비스수지도 20억3천만달러 적자였다. 지난해 2월 9천만달러 흑자였는데 1년 사이 21억2천만달러 줄면서 적자로 전환됐다. 특히 여행수지가 악화했다. 코로나19 방역이 완화, 여행에 물꼬가 트이면서 1년 사이 적자가 4억3천만달러에서 10억1천만달러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열린 비상경제차관 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던 서비스수지가 최근 들어 작년보다 악화해 경상수지 흑자 흐름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최근 정부가 발표한 내수 활성화 대책이 여행수지 개선 효과를 얼마만큼 창출할지가 올해 경상수지에 중요한 변수"라고 했다.
하지만 여행수지가 쉽게 개선되진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내국인의 해외여행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여행수지가 개선되긴 쉽지 않을 것 같다. 제주 등 주요 관광지의 '바가지 물가' 등 서비스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아 해외로 더 눈을 돌리는 게 현실"이라며 "다만 중국 단체 여행객이 언제, 얼마나 오느냐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