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엔·EU "강제징용 한국 정부 결정 환영"

입력 2023-03-07 10:48:00 수정 2023-03-07 21:22:24

미 국무부 대변인 "한미일 관계는 북 핵 대응 위해 매끄러워야"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6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제강점기 징용 해법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6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제강점기 징용 해법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강제징용 문제를 둘러싼 한국 정부의 해법을 두고 미국과 유엔 등 해외에서는 환영의 입장이 잇따른다.

미 국무부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역사적 발표를 환영한다"며 "한국과 일본 정부의 민감한 역사 문제에 대한 논의가 결론에 도달했다"고 논평했다.

그는 "우리는 한국과 일본이 양자 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한 단계를 구축해 가기를 장려한다"며 "한국과 미국은 인도태평양에서 가장 중요한 2개 동맹이며, 양국 관계 강화는 우리 공동 목표를 향한 진전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미일 관계는 북한 핵과 미사일이라는 핵심 도전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우리가 공유하는 비전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매끄러워야 한다"고 거듭 확인했다.

유럽연합(EU)도 한국 정부 결정을 한영한다는 입장을 냈다.

EU 외교부 격인 대외관계청(EEAS)은 6일(현지시간) 대변인 명의로 "한국과 일본 간 양자 관계를 개선하고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오늘 발표된 중요한 조처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EU에 매우 중요하고 전략적인 유사입장국"이라며 "한일 양국의 긴밀한 협력은 국제질서에 기반한 규범을 강화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을 촉진하는데 핵심 축"이라고 강조했다.

인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미국의소리(VOA) 방송의 논평 요청에 "최근 한일 간 긍정적인 교류와 미래지향적인 대화를 환영한다"고 답했다.

파르한 하크 유엔 사무총장 부대변인은 고테흐스 사무총장이 "양측이 국제적으로 인정된 원칙에 따라 양자 분쟁에 대한 포괄적 해결책을 찾도록 독려한다"고 부연했다고 VOA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