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지음/ 오르트 펴냄
'도시인'에게 별은 쉽게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스마트폰의 유혹을 겨우 뿌리치고 고개를 들어본들 높은 아파트, 그보다 더 높은 빌딩이 먼저 시야에 들어온다. 아파트와 빌딩 창 밖으로 새어나오는 환한 불빛과 가로등,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들의 빨갛고 노란 불빛. 도시의 밤은 인간이 만든 빛으로 가득 차고, 밤하늘에는 고작 몇 개의 별만 보이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도시인들에게는 일부러 별을 보기 위해, 인공적인 빛을 피해 도시에서 멀리 떠나는 일도 쉽지 않다.
그래서 이 책은 도시 안에서, 내가 사는 동네에서 별을 볼 수 있는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지은이는 조금만 달리 생각해보면 도시의 환경이 오히려 별을 보기 좋은 곳일 수 있다고 말한다. 도시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한다는 것.
"도시의 밤하늘은 덜 밝은 별을 과감히 숨겨주고 정말 밝게 빛나는 몇 개의 별만 선별해서 보여줘요. 즉 도시는 친절하게도 중요한 별만 골라서 우리에게 보여주기에, 처음 별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별을 보기에 좋은 장소일 수 있어요."
지은이는 도시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밤하늘의 별을 만나는 '도시인만의 별 보는 방법'을 상세하고 친절하게 알려준다.
겨울철 별자리를 예로 들어보자. 겨울철 별자리는 밝은 별이 많아서 맨눈으로 볼 때 사계절 중 가장 멋지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오리온자리는 베텔게우스, 리겔이라는 2개의 별이 대각선상에 놓여있고 그 중간에 3개의 별이 일렬로 줄을 서있어 굳이 열심히 찾으려하지 않아도 보자마자 바로 눈에 들어오는 별자리다.
오리온자리 옆, 빛나는 별을 발견했다면 그건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다. 시리우스는 지구에서 볼 때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이다. 큰개자리 위쪽에는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만큼 밝은 별인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을 볼 수 있다. 작은개자리의 나머지 별 하나는 상대적으로 어두워서 도시에서는 프로키온만 보일 수도 있다.
이렇게 독특한 모양의 오리온자리와 밝은 별의 큰개자리, 그 근처에 있는 작은개자리 세가지만 알아도 겨울철 별자리의 대삼각형이 그려진다.
특히 이 책은 실제의 별자리가 '도시 필터'를 거치면 어떻게 보이는지 보기 쉽게 그림으로 제시해 이해도를 높였다.
1부에서는 이렇게 계절별 별자리가 도시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설명했으며 2부에서는 별자리 위치를 기준으로 성단, 성운, 은하를 찾는 방법을 얘기한다. 3부는 왜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바뀌는 지 등 하늘이 회전하는 원리에 대해, 4부는 별보다 밝게 빛나는 행성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살펴볼 수 있는 별자리 프로그램과 천체 망원경을 잘 구입할 수 있는 팁까지 알차게 담아놓았다.
지은이 김성환 씨는 국내 1호 교육천문대인 안성천문대에서 별과 우주, 천체 망원경에 대해 강의해왔다. 지금은 유치원과 초·중·고에서 학생들에게 밤하늘의 신비함을 알려주고 있다. 240쪽, 1만8천500원.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윤 전 대통령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