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수용률 한계 임박…지자체 수장고도 포화 위험 수위

입력 2023-01-25 11:25:21

중박 수용률 96.3%로 임계치…자자체 수용률도 80% 이상인 곳도 다수 증가
김승수 의원 "수장고 부족으로 유물 방치되면 곤란…폐터널 활용 등 대책 마련해야"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을)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수용률이 한계에 임박했고 각 지방자치단체 관할 수장고의 수용률도 급격히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장고 부족으로 유물이 방치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5일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을)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수장고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수용률은 2020년 87.8%에서 지난해 96.3%로 8.5%포인트(p) 증가했다.

지자체 관할 수장고 중 수용률이 80% 이상으로 포화 위험인 수장고도 2017년 7곳에서 2022년 15곳으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박물관은 그간 수장고 수용률을 낮추기 위해 2019년, 2020년 중층화 사업을 벌였다. 그 결과 2017년 102.5%에 달했던 수용률이 2020년 87.8%까지 낮아졌다. 하지만 불과 2년만인 2022년 수용률은 96.3%까지 다시 증가했다.

지자체 관할 수장고의 경우 남양주시립박물관은 지난해 이미 수용가능한 유물 8천1점이 모두 차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수장고 포화 상태가 심화·지속되면 공간 부족으로 간이시설에 유물을 보관하는 등 파손 위험성이 커진다. 또 수장고가 아닌 곳에 장기간 유물이 방치돼 분실·훼손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승수 의원은 "발굴 유물이 훼손·분실되는 일이 없도록 수장고 시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역사 연구를 위해 소중이 관리돼야 할 유물이 수장고 부족으로 방치되지 않도록 관리·감독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발물유물 역사문화공간 조성사업을 활용, 폐터널을 수장고로 활용하는식의 발상이 필요하다. 수장고 증설과 지방 문화역사재생 공간 구축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고 아이디어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