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조직 설립 시도 혐의
제주·창원 간첩단 사건과는 별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핵심 간부들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랐다. 이들은 동남아에서 북한 공작원을 접촉했고, 국내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반정부단체를 설립하려했다는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과 경찰은 18일 서울 중구 정동의 민노총 본부,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의 민노총 산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사무실, 제주 세월호 제주기억관 평화쉼터 사무실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대상은 민노총 조직국장 A씨, 민노총 산하 금속노조 부위원장을 지낸 B씨, 보건의료노조 조직실장 C씨, 평화쉼터 대표로 있는 D씨 등이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에 따르면 A씨는 2017년 캄보디아 프놈펜,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한 노동당 산하 대남 공작 기구인 문화교류국 공작원을 접촉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B씨는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C씨와 금속노조 출신으로 알려진 D씨는 2017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각각 북한 공작원을 접촉한 혐의가 있다고 한다.
A씨 등은 외국 이메일 계정이나 클라우드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공유해 교신하는 '사이버 드보크' 등을 통해 북측과 수년간 연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이들이 해외에서 북한 공작원을 만나 민노총 침투 및 주요 시민단체 장악 임무를 받고 반정부단체 조직 방안, 북한과의 교신 방법 등을 교육받은 뒤 국내로 돌아와 공작원이 지시한 강령과 규약에 따라 반정부 활동을 이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은 A씨가 B 씨와 C씨 등을 포섭해 보건의료노조와 광주 기아 공장 등 3곳에 지하조직을 설립하려 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이들을 국가보안법상 회합·통신 혐의로 수사해온 당국은 증거 인멸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이날 공개 수사로 전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번 사건은 간첩단 혐의 지하조직 사건으로 수사 중인 경남 창원의 '자주통일 민중전위', 제주의 'ㅎㄱㅎ'과는 별개인 것으로 전해졌다.
민노총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국가보안법을 앞세운 이념, 색깔 덧씌우기 공작, 이를 통한 공안 통치의 부활"이라며 "민주노총을 음해하고 고립시키려는 윤석열 정권의 폭거에 맞서 강력한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