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미래 성장에 4조 투자…작년보다 6.9% 증액

입력 2022-12-25 15:08:33 수정 2022-12-25 21:31:58

638조 규모 내년 예산안 국회 통과…市 7조8222억 확보
로봇 제조공정 혁신 181억원, 노후산단 재생사업 135억원
대구산업선 철도에 1576억원…금호강 명품하천 조성 20억원

대구시청사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시청사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시는 내년도 정부 예산에 관한 국회 심의 결과 7조8천222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가운데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투자사업이 4조371억원(51.61%)을 차지했고 복지 예산(2조4천651억원)과 교부세(1조3천200억원) 등을 포함하면 올해보다 6.9%(5천70억원) 증액됐다.

대구시에 따르면 주요 반영 사업은 ▷로봇‧ABB‧반도체‧미래 모빌리티‧의료 헬스케어 등 미래 5대 첨단산업 ▷산업단지 첨단화‧재구조화 및 지역산업 혁신 ▷광역교통망 조성 및 물류 수송체계 개선 등 3가지 분야가 꼽힌다.

로봇 및 ABB산업에선 5G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기반 구축(51억원), 로봇활용 제조공정혁신지원(181억원)이 예산안에 반영됐다. 산업단지 첨단화 사업에선 제3, 서대구산단 등 노후산단 재생(135억원)과 노후산단 스마트주차장 인프라 구축(124억원)이 대표적이다. 반도체 및 미래 모빌리티와 의료 헬스케어 분야에선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137억원)과 제약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구축(67억원)이 미래 먹거리로 꼽혔다.

대규모 인프라 사업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대구산업선 철도 건설(1천576억원) ▷도시철도 1호선 안심~하양 복선전철 건설사업(434억원)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341억원) ▷상화로 입체화 사업(241억원) ▷조야~동명 광역도로 건설(200억원) 등이 반영됐다.

금호강 명품하천 조성사업 예산 20억원도 반영되어 '금호강 르네상스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될 발판이 마련됐다. 이 밖에도 대구도매시장 긴급 시설개선(34억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건립사업(392억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217억원), 대구 스타트업타운 조성(140억원) 사업이 이번 예산안에 이름을 올렸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역 발전에 꼭 필요한 내실있는 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며 "새로워진 대구의 도약과 발전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