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전통시장이 10여 년 사이 50곳 넘게 사라졌다고 한다. 수십 년 동안 지역의 터줏대감처럼 중심지로 인식되던 전통시장이기에 소멸의 충격은 적잖다. 2020년 기준 1천401곳이던 전국 전통시장 수는 2006년(1천610곳)에 비해 209곳(13%) 줄었다는 게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집계다. 지역별로는 경북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191곳이던 것이 138곳으로 쪼그라들었다. 53곳이 사라진 것이다.
전통시장의 경쟁 상대는 대형마트 등 대형소매점과 기업형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 그치지 않는다. 온라인 유통업체가 상거래의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시장은 존망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수범 사례로 꼽히는 포항 큰동해시장의 경우도 그렇다. 서비스를 현대화하고 관광 명소의 하나로 시장을 마케팅하면서 관광지, 전통시장, 맛집 투어를 연계했다. 시류를 읽고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극히 일부의 성공담이다.
시설 현대화, 온라인 주문·배송 서비스 도입 등 자구책 주문도 한계가 있다. 인구 자체가 줄어든 탓이다. 소비자뿐 아니라 상인마저 줄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포항, 경산, 구미, 경주 등 대도시 외에는 인구 소멸의 큰 흐름을 이겨내지 못하고 있다. 고사를 막기 위해 유통업계 전략을 도입하지만 모두 성공하는 게 아닌 까닭이다. 특색과 차별화를 강조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이유다. 특산물 판매와 연계하거나 야시장 등을 내세워 관광객을 모셔오자는 전략이다. 제주, 경주 등 관광 도시의 시장들을 벤치마킹하자는 것이 골자다.
경북의 경우 23개 시군마다 있는 특산물을 킬러 콘텐츠로 내세우는 것도 활로를 뚫는 방법이 된다. 전통시장의 취약점을 대형소매점 등의 편의성으로 보완해 공생하는 것도 시도해 봄 직하다. 행정 당국도 현실적인 콘텐츠 생성에 초점을 맞추는 등 시장 수요에 맞는 전략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현대화 사업 등 전통시장 살리기 구호에 들어간 혈세가 수천억 원이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우려도 엄연히 존재하는 탓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