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이태원 '압사' 표현 삭제 논란에 "尹도 수차례 '압사' 썼다"

입력 2022-12-08 16:53:29

이태원 참사 사고발생 골몰길에 맞닿은 해밀톤호텔 서쪽면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가벽.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사고발생 골몰길에 맞닿은 해밀톤호텔 서쪽면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가벽.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다음날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삭제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동의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 논란이 '사망자' '희생자' 논란과 유사하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태원 참사가 난 다음날 중대본 회의에서 중립적인 행정용어로 통일하는 게 좋겠다는 행안부의 의견에 따라 '이태원 사고'로 통일했다"며 "그렇다 해서 어떤 현상이 사라진다고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이미 여러차례 '참사'라든지, '압사'라든지 이런 용어를 사용했다"며 "행정용어를 통일했다 해서 그것이 사건을 규정하거나, 그것이 국민을 또는 여론을 호도한다는 주장 자체에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앞서 전날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참사 당시 보건복지부·소방청·소방본부 관계자가 나눈 모바일 메신저 대화를 근거로 윤석열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쓰지말라는 지시가 나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대화 내용에 따르면 참사 다음날인 10월 30일 오후 박향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오늘 대통령주재 회의 결과 이태원압사사건을 '압사' 제외하시고 이태원 사고로 요청드려요'라는 글을 올렸다.

이후 한 관계자는 '이태원 사고로 변경하겠습니다'라고 답하고 박 정책관은 '감사해요'라고 대답했다.

이를 두고 신 의원은 "참담한 사고 진상을 밝히고 수습하기보다 10·29 참사의 본질을 교묘하게 왜곡하고 사실을 축소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는지 진상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