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에 6천억 투자 '미래차 부품 슈퍼클러스터'…산업체질 확 바꾼다

입력 2022-12-06 15:36:36 수정 2022-12-06 21:12:55

6일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상생협약…경북도·경주시·영천시·경산시 맞손
다스, 에코플라스틱, 화신, 일지테크, 아진산업 등 10개사 "5천800억 투자, 800명 고용"

경북도는 6일 경북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협약식을 열고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및 지역 10개 차 부품 업체와 함께 미래차 부품 산업으로 체질을 개선한다는 등 내용의 계획을 발표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6일 경북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협약식을 열고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및 지역 10개 차 부품 업체와 함께 미래차 부품 산업으로 체질을 개선한다는 등 내용의 계획을 발표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 차 부품업계가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수퍼클러스터를 꾸려 국내 대표 차 부품 산업단지로 거듭난다.

경북도는 6일 도청에서 '정부의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신청 및 선정을 위한 투자협약'과 '노사민정 상생 협약'을 잇따라 맺었다.

경북도와 경주·영천·경산시 단체장, 지역 차 부품사 10곳, 경영계, 한국노총 경북지역본부, 금속노조 경주시지부 등이 참석했다. 차 부품사로는 다스와 에코플라스틱, 영신정공, 화신, 신영, 한중엔시에스, 일지테크, 아진산업, 대영전기, 건화이엔지 등이 자리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지자체와 기업·노사는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수퍼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데 동참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 5천880억원 넘게 투자하며 800명가량을 고용할 방침이다.

경북은 그간 내연기관 차 부품 제조업에 치중해 산업구조 재편 추세에 재빨리 적응하지 못한 데다 청년인구 유출로 구인난마저 겪을 위기에 놓였다.

이에 지난해 경북도는 '미래 자동차 전환 산업혁신 및 일자리 전략'을 세우고서 올해 산업 전환에 필요한 모든 지원책을 총괄하는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상생형 지역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경주와 영천, 경산의 차 부품업계 체질을 민간 주도로 개선하며 정부 지원을 더해 미래차 부품산업 수퍼클러스터를 만드는 게 골자다.

지역 내 ▷미래차 부품 혁신센터 ▷일자리혁신파크 ▷글로벌비즈니스지원센터 등을 설치하고 R&D와 생산·판매 등 분야별 지원책을 펼쳐 지역 기업이 미래차 부품업체로 전환하도록 이끈다.

아울러 지역 대학과 특성화고가 참여해 청년 인재를 확보하고, 원하청 동반성장을 목표로 한 공동 연구개발에 나선다. 협력사 산업재해를 함께 예방하며, 사회적 경제와 연계한 ESG 경영과 지역사회 공헌도 이어갈 방침이다.

이 밖에 지역 노사민정 고충을 반영해 산업·노동 형태가 바뀌더라도 일자리를 유지하며, 동시에 새로운 분야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투자유치 전략과 인센티브 개발 방안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서 그간의 성과를 발표한 전인 영남대학교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윤석열 정부의 성장지원형 산업전략, 기업 간 동반성장, 산재 예방, 탄소중립에 따른 녹색경제, 청년 일자리 맞춤 지원 등 주요 국정과제와도 맞닿아 있다"고 덧붙였다.

경북도는 이번 협약 체결을 계기로 이른 시일 내 정부에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신청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정부가 민관합동지원단 현장실사와 산업통상자원부 심의위원회 의결 등 심의를 거쳐 이를 채택하면 내년 상반기부터 사업을 시작할 수 전망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제 자동차는 이동수단을 넘어 탑승자 편의를 돕고 재미도 주는 커다란 전자기기가 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시대 변화에 재빨리 대응하고자 지자체와 기업, 연구기관, 노사가 뜻을 모아 투자와 고용에 나선 새로운 사례"라며 "경주와 영천, 경산이 국내 최대 미래 차 자동차부품 산업단지로 성장하고, 미래 일자리를 선점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