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예산 증가율 1위 "통합신공항 배후도시" 기대감 때문

입력 2022-12-02 16:42:54 수정 2022-12-02 20:38:14

경북 전체 23개 시·군중에서 증가율, 증가액 모두 1위
지난 10년간 예산 5천억원 증액했지만 올해만 3천억원 증가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가 23개 시·군 중 당초예산 편성에서 가장 큰 예산 증가율과 증가액을 보이면서 그 이유와 앞으로의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구미시는 2023년도 당초예산을 1조8천208억원으로 편성해 경북 23개 시·군 중에서 예산 증가율이 2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22년도 당초예산인 1조5천60억원보다 무려 3천148억원이 증액된 규모다. 증가율도 정부(5.2%), 경상북도(7.4%), 23개 시·군 평균인 10.2%보다 크게 상회했다.

구미시가 예산을 크게 증액 편성한 것는 지자체 살림의 기본이 되는 교부세, 지방세 수입, 세외수입 확보 등의 항목에서 충분한 뒷받침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구미 5공단 분양 활성화와 구미 산단에 기업 유치 및 투자가 잇따르면서 구미 국가산업단지 내 경제 활력의 불씨가 되살아날 것으로 보고 예산을 확장 편성했다는 관측이다.

또한 구미시는 주요 현안인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 증대를 위해 예산 확보가 최우선임을 판단하고, 기재부·행안부·국회 등을 지속적으로 방문하는 등 확장적 예산 편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외에도 늘어나는 노인 인구 등 정부의 복지정책에 따라 지자체가 부담해야 할 예산도 커지면서 사회복지 분야에 5천152억원의 예산이 편성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산이 증대됐다.

특히 구미시는 지난 10여년간 5천억원 증액에 불과했지만 2023년도 예산편성에만 3천억원이 넘는 예산을 증액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취임 때부터 신공항 배후도시에 걸맞은 예산 3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김 시장은 이번 예산편성으로 지역경제 회복, 인구 증가, 숙원사업 해결, 미래산업구조 전환 등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이끌어나간다는 입장이다.

구미시는 증액한 예산을 바탕으로 인구유입을 위한 복지확대,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살리기를 위한 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등에 중점 투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SOC사업투자, 문화관광인프라구축, 지역경제 및 기업유치 위한 투자, 농업예산 확충, 전생애 주기돌봄 지원 등이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예산은 지역 경제 회복을 견인하기 위해 과감한 예산을 편성하고, 재정의 건전성과 지속가능성도 고려했다"며 "민선 8기 공약을 지키기 위해 전년 대비 20% 증액한 역대 최대 규모로 예산편성을 단행했다. 다가올 공항 배후도시 명성에 걸맞은 예산 3조시대를 임기 내에 반드시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