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선 노동자 약 1천500명 참여할 것으로 전망
돌봄 업무는 공백 시 학교 교직원 투입
교육청 "도시락·단축 수업 준비"

오는 25일 전국적으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이 예정된 가운데 교육 당국이 급식·돌봄 공백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서는 등 교육 현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대구에서 1천500여명 등 전국적으로 최대 8만 명 정도가 파업에 동참할 전망이어서 일선 학교에선 대체 급식과 단축 수업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전국연대회의)는 교육부 및 17곳 시·도교육청 등과 임금 교섭을 진행 중이다.
이들은 정규직 대비 60~70%선에 머물고 있는 임금 수준을 물가 인상률을 고려해 인상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학교 급식실 종사자들의 폐암 및 산재 관련 종합 대책 마련도 촉구하고 있다.
전국연대회의측은 "교육 당국은 물가인상률보다도 낮은 1%대 임금 인상률을 제시하며 비정규직 노동자를 우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학교 급식실 노동자의 폐암 발병과 관련해 환기시설을 개선하고 충분한 인력이 배치될 수 있도록 기준을 정상화해달라"고 덧붙였다.
교섭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전국연대회의는 오는 25일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전국연대회의에 따르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5만여 명이 이날 오후 여의대로에서 마포대교, 영등포 방향으로 파업 대회에 참여한다. 여기에 각 지역에서 파업에 참여하는 조합원까지 합하면 참여 인원은 최대 8만 명 가량으로 예상된다.
대구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대구연대회의)는 이날 지역에서 1천500여명이 총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연대회의의 조합원 수는 4천500여명으로 영양사와 조리사, 조리원 등 급식실 종사자가 절반을 차지한다.
총파업 소식이 전해지자 현장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선 급식·돌봄 등 업무 공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달서구 한 초등학교 교사 A씨는 "파업 때문에 급식 대신 도시락을 지급될 경우 초등학교 저학년은 도시락 식사 연습이 안 돼 있어 급식 지도가 어렵고, 남은 음식 처리에도 혼선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동구 지역 초등학교에 다니는 5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B씨는 "파업에 들어가면 급식보다는 돌봄이 가장 문제가 될 것"이라며 "돌봄 교실을 이용하지 못한다면 특히 맞벌이하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아이들을 당장에 맡길 곳이 없어 큰 일"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교육청은 각 학교에 공문을 보내 총파업 대응책 마련과 현황 파악 등을 지시하는 등 파업 당일 급식·돌봄 현장 공백에 대비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부형들과 의견을 조율해 도시락 또는 완전 제품으로 대체하는 식으로 대비하고 혹시나 차질이 생길 경우 학교 내부 회의를 거쳐 단축 수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며 "초등 돌봄이나 유아 돌봄은 학교 교직원으로 대신하도록 준비 중"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