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논란 한수원 사외이사, 이번엔 부적절 자소서 논란

입력 2022-11-09 17:45:56 수정 2022-11-09 20:11:07

'에어컨 청소로 탄소 중립' 등 숙박업소 경력만 강조
"한수원 관련 전문성·경험 전무…공공기관 검증 허점 시정돼야"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 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신임 A사외이사의 전문성 논란(매일신문 11월 6일 보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낙하산' 선임에 이어 부적절한 자기소개서 논란이 불거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A이사의 자기소개서와 직무기술서에서도 원자력이나 전력발전과 관련한 이력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한수원의 비상임이사 선발 심사기준 중 하나인 '(전력산업 관련)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와 관련해 자소서에 "A이사 자신이 정부의 2050 탄소 중립을 고려, '운영 중인 숙박업소 내 에어컨 필터 청소' 등을 실천하고 있다"고 적었다.

또 A이사는 '한수원이 더욱 안전하게 원전을 운영하고 중대재해 제로(Zero)를 실천할 수 있도록 기여할 점에 대해선, 자신이 운영 중인 숙박업소가 '2019 일산화탄소 중독 자살 예방 지원사업 우수 업소'에 선정되었다는 점을 들었다고 정 의원은 전했다.

정 의원은 "이는 원전 안전 운영과는 무관할 뿐 아니라 사외이사에 요구되는 전문성과는 무관하다"고 지적했다.

한수원 비상임이사는 공모를 통해 한수원 임원추천위원회가 적합성 여부를 판단,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 통보하면 운영위 검증 및 한수원 주주총회 의결을 거친 뒤 기재부 장관이 최종 승인하게 된다. 한수원의 사외이사로 선임되면 연간 3천만 원의 급여를 받는다.

정 의원은 "이번 A 사외이사의 적격 논란으로 한수원의 임원추천위원회는 물론 공공기관운영위의 검증에 허점이 있다는 논란이 불가피해졌다"며 "한수원 업무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 관련 전문성이나 경험이 전무한 인물이 사외이사로 추천되고, 이를 공공기관운영위가 걸러내지 못한 제도적 허점은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