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대선 경선 시절 "국비 부담 불가피…특별법 제정도 필요"
李 대표, "국가주도로 군 공항 이전 사업 완수"
대선 전후 꼭 지키겠다 해놓고, 이제와 나 몰라라 해선 안 돼
대구경북(TK) 통합신공항 적기 건설을 위한 특별법 연내 제정의 '골든아워'가 다가오면서 과거 윤석열 대통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쏟아냈던 발언들에 이목이 집중된다. 대선 전후 윤 대통령, 이 대표는 TK 신공항 국비 지원은 물론 특별법 제정도 시사한 바가 있어 '공식석상에서 내놓은 공인들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반응이 터져 나온다.
윤 대통령은 올해 1월 한국지방신문협회 대선 경선 후보 인터뷰에서 "통상 공항 건설은 국비 또는 공항공사가 부담하고 있다"며 "(TK 신공항은) 군 공항으로 이용할 경우 국비 부담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대구공항 부지 매각 후 자금이 부족할 경우 전액 국비 보전이 이뤄지도록 할 것인 만큼 특별법 제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가덕도 신공항의 선례에서 볼 때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대선이 임박한 지난 2월에도 대구를 방문해 "통합신공항 활주로가 3.8km 이상은 돼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TK 민심을 잡기 위해 지역 대표 현안 사항인 통합신공항의 적기 추진을 적극 지지하고 특별법 제정 가능성까지 거론한 것이다.
이러한 사정은 이재명 대표도 다르지 않다. 올해 1월 광주공항을 방문해 '광주 군 공항' 이전을 공약하면서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중 하나가 형평성"이라며 "대구공항, 광주공항 이전은 가덕도 공항처럼 없는 공항을 새로 만드는 게 아니어서 비용이 훨씬 적게 들기 때문에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력을 발휘하면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100%(국가예산)이라고 말을 못 해도 국가 주도로 국가 책임 하에 빠른 시간 안에 군 공항 이전 사업을 완수하겠다"고 공약했다.
대선 이후에는 주호영발 TK 신공항 특별법과 별도로 광주·대구 군 공항 이전을 묶은 특별법을 발의하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다. 당 대표가 된 이후인 지난 9월 30일 광주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광주공항과 대구공항을 묶어 특별법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자"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정치적 신뢰 측면에서라도 TK 신공항 특별법 제정 움직임에 소극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대선 경선이나 후보시절 지역을 찾아 여야 없이 TK 신공항 건설 추진을 약속한 것을 국민들은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다"면서 "대구경북 미래를 열기 위한 핵심 현안인 TK 신공항 건설 특별법 제정을 외면하거나, 선거가 끝났다고 소극적인 자세로 돌아서서는 절대로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