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사망자는 중립적 표현, 희생자 등 다른 표현 얼마든지"

입력 2022-11-02 11:20:42 수정 2022-11-02 12:33:49

2일 오전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1층 외부에 설치한 합동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사진은 현수막이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갈아 설치된 모습. 연합뉴스

지난 10월 29일 밤 '이태원 압사 참사'가 발생하고 이튿날이었던 30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번 참사 관련 용어를 '참사'의 경우 '사고'로, '피해자' 대신 '사망자'나 '사상자'(사망자와 부상자를 합친 표현)로 통일하는 방안을 결정했던 것으로 지난 1일 알려진 가운데, 중대본이 2일 오전 해명했다.

▶중대본은 해당 지침이 내려졌던 것에 대해 "중립적 표현일 뿐이다. 정부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론에 밝혔다.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박종현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재난 관련 용어를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내규에 따른 것이었고,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희생자 표현을 써도 된다. '사고', '사망자'는 권고사항이며, (다른 표현을)얼마든지 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도 "가해자 책임이 명확하게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희생자' '피해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런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고 명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지 않을까 해서 '사망자'와 '사상자' 이렇게 사용한 것"이라고 비슷한 맥락의 설명을 언론에 한 바 있다.

이 문제는 전날인 1일 이형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언론에 공개하며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페이스북

▶실은 이같은 중대본 해명이 나오기 앞서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1층 외부에 설치된 합동분향소의 현수막이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교체돼 주목됐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이날 오전 9시 49분쯤 페이스북에 분향소 명칭을 변경키로 결정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참사 초기 추모 분위기에 역행하는 논란이 일까 싶어 행안부 지침에 따랐다"며 "그러나 이태원의 참상이 경찰 초기 대응 실패가 그 원인이라는 점이 분명해진만큼, 희생자들을 '제대로 추모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며 "행안부는 지침을 다시 내려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덕수 국무총리(오른쪽)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0월 30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용산구 이태원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와 관련한 상황 점검을 위해 상황실로 들어서고 있다. 빨간원 안은 더불어민주당이 문제를 제기한 '근조' 또는 '추모' 표시가 없는 검은 리본. 연합뉴스

▶정부는 '사망자' 대 '희생자' 또는 '피해자' 용어 논란과 함께 앞서 '국가애도기간' 중 근조(謹弔, 사람의 죽음에 대해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냄) 검은 리본을 착용하도록 하면서 각 시·도 및 중앙부처 등에 '글씨 없는 검은색 리본으로 착용하라'는 공지를 내려 이와 관련해서도 논란을 만든 바 있다. 이에 일부 지자체 등에서는 한쪽에만 '근조'라고 적혀 있는 기존 검은 리본을 뒤집어 패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를 두고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정부가)'희생자가 아니고 사망자다', '참사가 아니라 사고다'. 어떻게 이런 공문들을 내려보내면서 자신들의 책임을 줄이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하는 등 야당 정치인들의 비판이 집중됐다.

검은 리본 논란과 관련해서는 1일 인사혁신처가 "애도를 표하기 위한 리본에 일률적인 규격 등이 지정돼 있지 않다"고 언론에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