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참사 전 지하철 무정차 통과 요청" VS 교통공사 "11시 넘어 첫 요청"

입력 2022-10-31 19:47:26

관계기관 책임 떠넘기기 급급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한 시민이 술을 올린 뒤 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핼로윈데이를 하루 앞둔 29일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지하철 무정차 통과 요청'을 두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 측이 서로 엇가리는 입장을 내놓으며 서로 책임을 미루는 모습이다.

공사는 경찰로부터 사고 당일 11시11분 처음으로 무정차 통과 요청을 받았다고 했으나, 경찰은 밤 9시 38분쯤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 요청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서울경찰청 112종합상황실은 31일 "사고 당일 현장에 있던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이 밤 9시 38분쯤 전화상으로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다"며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승하차 인원이 예년과 차이가 없다'면서 정상 운영했다"고 주장했다.

또 "용산경찰서에서는 지난 26일 열린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서울교통공사 관계자에게 '다중 인파가 모일 경우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를 적극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서울교통공사 측은 '그간 핼러윈 때 이태원역을 무정차로 운행한 사례는 없으나 필요할 때 현장에서 판단하여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고도 전했다.

반면 공사 측은 사고 발생 전 경찰 측의 무정차 요청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공사 측은 "밤 9시38분 통화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경찰은 '역사 내부 상황'을 문의했을 뿐 무정차 통과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다"며 "당시 주요 통화 내용은 서울교통공사가 경찰에 이태원역 출입구를 통제해달라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공사 측은 또 "사고 당일 밤 11시 11분 최초로 이태원역 무정차 요청이 있었는데, 이미 사고가 난 지 1시간 이상 지났고, 재난문자도 발송된 상태였다"며 "현장의 혼잡을 줄이기 위해 무정차 하지 않고 오히려 임시 열차 1대를 더 투입해 승객 귀가를 도왔다"고 설명했다.

공사 측은 사고 후 11시 6분쯤 이태원역에서 공덕역 방향으로 가는 열차를 1대 추가 운행했다.

아울러 공사 측은 간담회 당시 상황에 대해서도 경찰 측이 '무정차 통과는 어떤 절차로 하느냐' 정도로 문의는 있었지만, 경찰 주장대로 적극 검토해달라는 요청은 없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