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도 상승 폭 줄다가 하락 전환 후 하락 폭 커지는 추세
신규 오피스텔 공급 증가, 아파트 전세가 하락 폭 확대 영향
대구 오피스텔 매매가 하락 폭이 분기를 지날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도 하락세가 이어지는 상태다. 부동산 경기를 반영하듯 전국적으로도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2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주택의 대체제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9개 시·도를 대상으로 가격 동향을 조사해 공표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분기가 지날수록 하락세다. 작년 3분기(0.99%)보다 4분기(1.03%)엔 소폭 상승했으나 올해 1분기(0.12%)와 2분기(0.10%) 상승 폭이 점차 줄어들더니 3분기에는 하락 전환해 -0.24%에 그쳤다.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작년 3분기 이후 계속 내리막이다. 작년 3분기에 0.94%를 기록한 이후 4분기(0.84%), 올해 1분기 (0.34%)와 2분기(0.19%)까지 상승 폭이 줄더니 올해 3분기엔 하락 전환해 -0.09%를 기록했다.
특히 대구는 작년 3분기 이후 매매가 하락 폭이 커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작년 3분기 -0.03%를 기록한 이후 4분기 -0.21%, 올해 1분기 -0.30%, 2분기 -0.48%였고 3분기에는 -0.55%로 나타났다.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상승 폭이 줄다가 하락 전환했다. 작년 3분기(0.65%)와 4분기(0.31%), 올해 1분기(0.13%)까지 상승 폭이 감소하다가 2분기부터 -0.12%로 하락 전환한 뒤 3분기엔 -0.51%로 하락 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대구는 신규 오피스텔 공급이 증가한 영향을 받아 매매가 하락세가 이어졌다"며 "전세가 경우 신규 공급 확대로 가격 하방 압력을 받는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 하락 폭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거래 심리가 위축되면서 전세 수요가 감소한 탓에 하락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