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외환시장 쏠림 막기 위해 개입…보유액 충분한 수준"
"외환위기 표현 적절하지 않아"…이례적 브리핑
9월 한 달 동안 외환보유액이 200억달러 가까이 급감했다. 외환 당국이 원·달러 환율 급등을 막기 위해 적극 개입한 결과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천167억7천만달러로, 8월 말(4천364억3천만달러)보다 196억6천만달러가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하지만 감소율(-4.5%)은 역대 32번째 수준이다.
외환보유액은 3월 이후 4개월째 내리막을 달리다가 7월 반등했으나 8월과 9월 다시 두 달 연속 빠졌다.
오금화 한은 국제국장은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에 대해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달러화 평가 절상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천794억1천만달러)이 한 달 전보다 155억3천만달러 감소했다. 예치금(141억9천만달러)과 특별인출권(SDR·141억5천만달러),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42억3천만달러)도 각 37억1천만달러, 3억1천만달러, 1억달러 줄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8월 말 기준(4천364억달러)으로 세계 8위 수준이다.
중국이 3조549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921억달러)과 스위스(9천491억달러), 러시아(5천657억달러), 인도(5천604억달러), 대만(5천455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566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오 국장은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 외환당국의 외환보유액뿐만 아니라 2014년부터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외부 전문가도 아시아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을 낮게 봤다. 타이 후이 JP모건자산운용 수석전략가는 이날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글로벌 금융시장 긴급진단 : 달러 초강세 속 아시아 외환위기 재발 위험 점검' 웨비나(웹+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후이 수석전략가는 "최근 아시아통화 급락세가 해당 국가의 기업·금융기관들에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시아가 제2의 외환위기를 겪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한국은 외환 당국이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을 활용한 수출업체 선물환 직매입 등 여러 가지 적극적인 시장안정 조치를 이미 가동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